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path dependency and social amplification of riskin terms of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management of governments. Pathdependency explains the tendency of a traditional preference to continue even if betteralternatives are available. In this paper, it has been offered as an alternative analyticaltool for air pollution management policy of levels of government. A key finding of pathdependence in air pollution policy of governments is a property of lock-in effects byhistorical events.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SARF) is employed as a anotheranalytic tool for a risk communication of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policy bygovernments. It attempt to tackles negative portrayal of air pollution events interactedwith psycholog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cultural processes in ways that amplifyperceptions of risk. There is now considerable evidence that risk intensificationphenomena have occurred in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issue for the past decad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미세먼지 정책의 딜레마를 경로의존성과 위험의 사회적 확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세먼지 대책의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y)은 과거 미세먼지 대책이 구조적 변화 없이 대증적인 처방에 치중하면서 장기적이고 효율적 대책마련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였음에 착안하고 있다. 미세먼지 본 연구에서는 위험의 사회적 확산(social amplification of risk) 모형을 통해 미세먼지 위험이 사회적으로 증폭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반복되는 미세먼지 문제가 본질적인 이슈와는 무관하게 언론에 의해 증폭되고 확산되는 것에 착안하여 보다 효율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향후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목차
1. 서론
2. 미세먼지와 이슈생존주기
2.1. 이슈생존주기모형(issue attention cycle model)
2.2. 미세먼지 이슈생존주기
3. 미세먼지 위험의 사회적 확산
3.1. 위험의 사회적 확산모형(SARF)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4. 미세먼지 정책의 경로의존성
4.1. 경로 의존성 모형의 확장
4.2. 미세먼지 정책의 경로 의존성
5. 미세먼지 위험의 사회적 증폭
5.1. 정보전달 단계
5.2. 해석・반응 단계
6.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