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신개발젠트리피케이션 관점에서 주택재개발사업에 따른 장소애착ㆍ공동체의식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신당 제6주택재개발구역 사례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Sense of Place,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Degre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Housing Renewal from the Perspective of New-Build Gentrification : Focused on Shindang 6th Housing Renewal District, Seoul, Korea

박새롬, 이선우, 이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not only physical dimension butalso social-psychological dimension in housing renewal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new-build gentrification. To do this, this paper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alyzesphysical changes, performs survey and run statistical analysis. Research findings are asfollows: first, physical environment has been improved after the project. Second,social-psychological changes such as place attachment, sense of community, and thedegre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have been changed after the project. Finally, significantfactors related to the place attachment are ‘collective efficacy', ‘interaction withneighbors', ‘comparison with previous degre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collectiveefficacy' and ‘interaction with neighb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nseof community. And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comparison with previous degreeof residential satisfaction' a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신규개발젠트리피케이션의 과정으로 사업이 완료된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물리적 변화 및 재정착 그리고 원주민과 이주민간의 장소애착, 공동체의식 및 주거만족도 차이와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변화로, 사업 전에는 빼곡히 들어선 저층의 단독주택과 연립주택들과 복잡한 도로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사업 후 적은 수의 고층 공동주택들이 중정형으로 배치되고 지하주차공간과 녹지가 조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원주민 재정착율은 11.7%로 서울시의 다른 정비사업지구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사회심리학적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장소애착의 경우 원주민은 이주민보다 높은 애착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집합적 효능감(.428)’, ‘이웃과의 상호작용(.274)’, ‘이전과 현재 주거지 환경 만족도 비교(-.242)’ 순으로 장소애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의식의 경우 원주민과 이주민간에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집합적 효능감(.379)’, ‘이웃과의 상호작용(.332)’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의 경우 원주민과 이주민간에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인지된 무질서도(-.396)’, ‘이전과 현재 주거지 환경 만족도 비교(.261)’ 순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문헌 고찰
  2.1. 전통적 젠트리피케이션에서 신규개발젠트리피케이션
  2.2. 재정착율
  2.2. 장소애착
  2.3. 공동체의식
  2.4. 주거만족도
 3. 분석의 틀
  3.1. 연구 대상지 개요
  3.2. 설문조사 개요
 4. 분석결과
  4.1.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재정착율 분석
  4.2. 물리적 특성 변화 분석
  4.3. 원주민과 이주민 집단 간 독립변수 차이 분석
  4.4. 장소애착, 공동체 의식 및 주거만족도에 대한 차이 및 영향관계분석
 5.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새롬 Park, Sae Reom.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연구센터 연구원
  • 이선우 Lee, Sun Woo. 한국철도공사 기획조정실 과장
  • 이제선 Lee, Jea Sun.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