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시지속성을 위한 규모 및 인구변화별 도시유형 특성요인 분석

원문정보

Analyzing Urban Features by City Types associated with City Size and Population Change for Urban Sustainability

서원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features of urban characteristics by types of cityassociated with city size and population change for urban sustainability focused on 228individual korean cities. For th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s the cities into four types interms of city size and population change, such as large area with population increase(ILA),large area with population decrease(DLA), small area with population increase(ISA), smallarea with population decrease(DSA), and perform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NOVA,duncan post-hoc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significant urban factor of ILA is economic advantages while DLA is undue social welfareand lack of local financial soundness. In case of ISA, the factor is very similar to the ILA. DSA is found that there is an external diseconomy associated with economic disadvantageand high density. The signific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etup local based urban policy no matter the city size and population change. Concretelycities with population increase generally need to use their physical environments whilecities with population decrease should focus on local industry and residential welfare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도시면적 규모와 인구증감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유형별 도시의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인구 및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증분석을 위한 도시유형은 인구가 증가하는 대규모 면적의 도시(ILA), 인구가 감소하는 대규모 면적의 도시(DLA), 인구가 증가하는 중소규모 면적의 도시(ISA), 그리고 인구가 감소하는 중소규모 면적의 도시 등 4개로 분류한 뒤 ANOVA 및 Duncan사후분석, 그리고 다항로지스틱모형(Multinomial Logistic Analysis)을 이용해 결정요인을 비교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ILA유형은 대규모 면적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산업여건이 좋다는 점이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DLA유형의 도시는 산업경제 측면에서 취약하고 복지관련 특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DLA유형의 도시에 있어 낮은 재정자립도와 관련되어 도시의 재정건전성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이로 인해 인구감소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SA유형의 도시는 전반적으로 ILA유형의 도시화 유사한 결정요인을 보이고 있었으며, DSA유형의 도시는 산업경제의 취약성과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부의 외부효과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현재 위기에 직면해 있는 도시 뿐 아니라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도시의 경우에도 향후 인구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인구증가 도시는 도시규모라는 물리적 여건을 이용한 확장적 도시정책 또는 지역특성화 정책을 통해 거주민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는 공통적인 취약점으로 나타난 산업정책 및 주거정책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변수 및 분석의 틀
  3.1. 변수의 구성
  3.2 분석의 틀
 4. 실증분석 결과
  4.1. 기초통계분석
  4.2. 도시유형별 도시특성의 차이 비교분석
  4.3. 도시의 유형별 특성요인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원석 Seo, Wonseok.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