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시간의 표상방식과 혜택의 소구 유형이 자원봉사참여의도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Time Representation Types and Benefit Appeals on the Volunteer Intention

김정애, 김재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volunteering in terms of the time consumption context, representation type of time and benefit appeal types will affect the volunteering intention. The author conducted experiments by both representation type (abstract vs. concrete) and benefit appeal (other-benefit vs. self-benefit) for the factorial design.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higher volunteering intention will occur when time is represented by the abstract type rather than by the concrete type.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other-benefit appeal condition will generate the higher intention when time is represented by the abstract type, whereas the self-benefit appeal condition shows the higher intention if time is represented by the concrete type. The study shows that the first hypothesis was supported. Concretely, the condition that the abstract time representation type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concrete representation type, which was statistically supported. The second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When time is represented by the concrete concept, volunteering intention increased in self-benefit appeal more than the other-benefit condition, of which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hen time is represented by the abstract concept, volunteering intention was different from neither self-benefit appeal nor other-benefit condition, which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한국어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원봉사활동을 자신의 시간을 소비하는 맥락으로 간주하고 이 때 시간의 표상방식과 혜택의 소구 유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2(시간의 표상방식: 추상적 표상 vs. 구체적 표상) x2(혜택 소구 유형: 사회적 혜택 vs. 개인적 혜택)의 요인설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1은 구체적으로 시간을 표상하는 것보다는추상적으로 시간을 표상했을 때 자원봉사참여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 2-1은 시간을 추상적으로 표상했을 때에는 개인적 혜택보다는 사회적 혜택을 강조하는 것이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도가 높을 것이다. 반면에 가설 2-2는 시간을 구체적으로 표상했을 때에는 사회적 혜택보다는 개인적 혜택을 강조하는 것이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도가 높을 것으로 설정하였다. 12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원요인분석을 한 결과 시간의 표상방식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시간을 구체적으로 표상했을 때보다 추상적으로 표상했을 때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시간의 표상방식과 혜택 소구의 유형이자원봉사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순 주효과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간을 추상적으로 표상하였을 때에는 혜택의 소구 유형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시간을 구체적으로 표상했을때 사회적 혜택을 소구하는 것보다 사회적 혜택을 소구하는 것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의도에 더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가설 2-2는 지지되었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자원봉사 참여의 필요성 및 선행 연구의 한계점
  2) 시간의 표상방식에 따른 자원봉사 참여의 차이
  3) 사회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에 따른 자원봉사 참여의도 차이
 3. 가설 설정
 4. 연구
  1) 연구 설계 및 참가자
  2) 실험자극 및 실험 절차
  3)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애 Jung-ae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강사
  • 김재휘 Jae-hwi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