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 및 자산 결합분포 특성 분석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Analysis on the Joint Distribution of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김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distribution of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by classifying income quintile and wealth quintile. This study uses the data provided by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published in 2015. Among total sample 6405 households, 1158 households are baby boomer households. The income and wealth of this study employ income and the sum of three kinds of wealth(real estate wealth, financial wealth, other wealth) of the 2015 KReI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based on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distributions. Then, various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 level, home region, employment status, housing tenure status) are examined to understand which characteristics are influential in income and wealth distribution. We examine low income-low wealth and high income-high wealth group of baby boomer household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portion of particular cell and that of total population based on all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luding baby boomer household income and wealth, the degree of inequality in wealth is greater than the degree of inequality in income. And the shares of the high income-high wealth and the low income-low wealth in joint distribution is larger than other shares. This mean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0.552) between income and wealth. This correlation index is higher than those of total households in Korea. Second, according to joint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for baby boomer household characteristics, female househods, less educated households, households living in Seoul, non employees households, and households living in a monthly rented housing are mainly distributed in low income-low wealth group. In addition, major determinant of income and wealth is education level and housing tenure status, respectively. Until now, baby boomer households have been considered as new senior which have a different and better socio-economic structure when compared to the preceding generation households. However, we find that baby boomer households with low income and wealth have a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f current trends continue, many of those baby boomer households are likely not noly to face a lower standard of living when they retire but also to find themselves largely dependent on government benefits. Therefore, policies for those baby boomer households are needed for improving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한국어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소득5분위 및 자산5분위로 구분하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과 자산의 결합분포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전개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5년 배포된 제5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405가구 중 1955년~1963년 사이 출생한 베이비부머 가구주만을 대상으로 하여 총 1,558가구 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과 자산분포 분석을 위해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총소득금액 을 소득으로 사용하였고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을 합한 금액을 자산으로 사용하였다. 우선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5분위와 자산5분위별 분포를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소득과 자산을 5분위로 분류한 25개 계층에 대한 결합분포를 구성하고 가구주 인구․사회 적 특성(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경제활동상태, 자가소유여부)에 따른 계층을 살펴보았다. 분석 방법은 각 특 성에 따른 전체 평균 비율과 25개 각 계층의 비율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 종합하여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과 자산을 5구간으로 나누어 계층별 점유 비율을 분석한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산 불평등이 소 득 불평등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자산 결합분포 상에서 소득 분위와 자산 분위가 일치하는 대각선에 위치한 계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자산이 많은데 소득이 적거나 소득이 높은데 자산이 적은 계층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는데 실제 소득과 자산간 상관계수는 0.552로 우리나라 총가구의 소득과 자산간 상관관 계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가구주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계층 분석 결과, 여성 가구주 가구일수록, 가구주 학력이 낮을수록, 서울 거주 가구일수록, 비취업자 가구주 가구일수록, 월세 등 기타 거주 가구일수록 소득이나 자산이 낮은 계층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소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으로 나타 났고 자산에 상대적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는 자가소유여부가 도출되었다. 지금까지 베이비부머 세대는 기존 노인세대 대비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평균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득과 자산을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계층별 분석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 내에서도 상위 또는 하위 계층은 사회, 경제적으로 구별되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계층의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양 극단에 있는 가구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목적 및 문제
 Ⅱ. 선행연구 고찰
  1.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에 관한 연구
  2. 베이비부머 가계경제구조 및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3. 베이비부머 경제수준 격차에 대한 연구
  4. 소득ㆍ자산 결합분포에 대한 연구
 Ⅲ. 연구방법
 Ⅳ. 베이비부머 세대의 소득 및 자산 분포
  1.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
  2. 베이비부머 소득 및 자산 분포
  3. 소득, 자산 결합분포
 Ⅴ. 결합분포 기반 인구ㆍ사회적 특성 분석
  1. 가구주 특성별 결합분포 분석 방법
  2. 가구주 성별 결합분포
  3. 가구주 교육수준별 결합분포
  4. 가구주 거주지역별 결합분포
  5. 가구주 경제활동상태별 결합분포
  6. 가구주 자가소유여부별 결합분포
  7. 소득과 자산의 결정요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정 Kim, Min-Jeong.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