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문성연, 박영진, 이봉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who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career due to low employment rates and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by family, friends, and professors, and then,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61 physical education students of four-year-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or the collected survey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using SPSS program. Analyzed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social support by family, friends, and professor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ocial support by family, friends, and professors plays a positive parameter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home and schools to establish positive interaction and support strategy so that physical education students can make reasonable career decision and achieve the decided target.

한국어

본 연구는 낮은 취업률과 인해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앞으로도 진로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 친구 및 교수의 사회적지지의 환경적 특성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 및 경북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체육계열 대학생 36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 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지지는 긍정적 인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육계열 대학생들이 합리적인 진로결정과 결정된 진로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지원 전략이 구축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영향
  2.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성연 Moon, Seong-Yeon. 경운대학교
  • 박영진 Park, Yeong-Jin. 대구과학대학교
  • 이봉근 Lee, Bong-Geun. 경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