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여자프로배구 관람결정요인에 따른 관람만족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that satisfaction in viewing depending on the factors of deciding to view women's Pro-Volleyball has on the intention to view again

박두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in viewing depending on the factors of deciding to view women's pro volleyball has on the intention to view again. To attain the objective of study, 308 units of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by selecting spectators of women's pro volleyball league in 2015 were selected as population and question papers were distributed to spectators viewing games held in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processed by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 for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Individual hypothesis was verified after confirming the verification of aptitude of study model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of deciding to view women's pro volleyball such as facilities, publicity, playing competence and game schedule have static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viewing. Second,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of deciding to view women's pro volleyball such as facilities, publicity, playing competence and game schedule have static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ew again. Third, it is found that the women's pro volleyball spectators' satisfaction in viewing has static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view again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여자프로배구 관람객의 관람결정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차별화되 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15년 여자프로배구 리그의 관람객들을 모집 단으로 선정하고, 수도권지역에서 열린 경기를 관람한 관람객들을 상대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21부를 수집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3부를 제외한 총 308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과 구조적모델 검증을 위한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 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프로배구 관람결정요인 시설, 홍보, 경기력, 경기일정의 4가지에서 관람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프로배구 관람결정요인 시설, 홍보, 경기력, 경기일정의 4가지에서 재 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타났다. 셋째, 여자프로배구 관람객들의 관람만족은 향후 재 관람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도구
  3. 확인적 요인분석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결과
  2. 연구 가설검증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두용 Park Doo-Yong.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