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스포츠 스타 SNS 활동에 따른 공중-관계성이 위기상황에서 이미지 회복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Public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NS Activity of Sports Stars on Image Restoration in Crisis Situations

김우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bic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NS activity of sports stars on image restoration in crisis situations, and its delivery effect for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ublic. SNS monitoring is essential as it can destroy valuable assets as credibility and reputation of sports stars because they get criticized from the general public when they do not respond to the issues on SNS effectivel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survey monkey,’and selected 327 people through utilization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n Facebook of sports stars,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network service makes positive effect on pubic relationship crisis communication, and image. Public relationship was verified to make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but it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make effect on image. A hypothesis was adopted because it was identified that crisis communication makes positive effect on image. The result is a new assignment for responding to the SNS proliferation that corresponding measur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s customer service, crisis and media response, event management, and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would have to be devised.

한국어

이 연구는 SNS 활동에 따른 공중-관계성은 스포츠 스타 위기상황에서 이미지 회복의 효과를 알아보고 공중이 인식한 정보에 대한 전달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고객과 스포츠 스타 서로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 고 보다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를 통해 즉각적인 반응으로 스포츠 스타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신 뢰감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스포츠 스타 페이스북(fecebook)을 대상으로 하여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 키’를 활용편의표준추출법으로 32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결과 소셜 네트워크서비스가 공중관계성,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관계성이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이미지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는 SNS 확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과제로 고객서비스, 위기 및 미디어 대응, 이벤트 관리 그리고 사회공헌활동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가설검증
 Ⅳ. 논의 및 결론
  1.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에 따른 공중-관계성
  2.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에 따른 위기 커뮤니케이션
  3.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에 따른 이미지
  4. 공중-관계성에 따른 위기 커뮤니케이션
  5. 공중-관계성에 따른 이미지
  6.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이미지
 Ⅴ.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우식 Kim, woo-sik.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