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schers' recognition for linear equations and linear functions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cogni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concepts of liner equations and liner functions. We chose 49 in-service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in G city and 29 pre-service teachers in M university and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about the concepts of liner equations and liner functions.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end to recognize a linear equation as an equation in one known rather than an equation in two unknowns. Second,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end to recognize a linear function as an explicit function rather than an implicit function.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한국어
본 연구는 방정식 및 함수와 관련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시 관내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 49명과 M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을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보다 더 일차방정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음함수 형태보다 양함수 형태로 표현된 일차함수를 일차함수로 더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의 제한점
II. 이론적 배경
1. 함수와 방정식에 대한 특수내용지식
2. 방정식과 함수에 대한 인지적 장애
III.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및 분석
1. 일차 방정식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2. 함수의 지도와 관련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3.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의 지도와 관련된 (예비)교사들의 인식
4. 방정식과 함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