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조직의 관료적 운영 정도가 교사의 교직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비교

원문정보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acts of bureaucratic operation of school organizations on teaching expertise

김운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bureaucratic operation of school organizations affect teachers' exercising teaching expertise. Teaching expertise are divided into school management, personal management, teaching lessons, extracurricular guidance, and self-improvement; twenty variables were used with four lower variables within each expertis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520 teachers at 10 schools in Jollabukdo, but finally 313 surveys were selected from 6 schools that were evaluated as of high, middle, low bureaucracy. The results show that less bureaucratic schools provide teachers with more opportunities to exercise their expertise in school management, personal management, and teaching lessons. But school bureaucracy has no direct connection with the extracurricular guidance and self-improv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work include that to fulfill school objectives effectively,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democratic personal management, and teaching autonomy must be ensured; that teachers themselves recognize that students extracurricular guidance is one of their important roles, cultivating their abilities and qualifications as guidance experts, exerting their expertise in guidance voluntarily; and finally that teachers must make ceaseless effort with their own recognition in mind that continuous self-impr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make them enjoy their status and make people agree that teachers are undisputed professionals.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조직의 관료적 운영이 교사의 교직전문성 발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직전문성은 학교경영, 인적관리, 학습지도, 생활지도, 자기계발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하위변인으로 4개씩 총 20개의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10개의 고등학교 교사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관료화 정도가 상·중·하에 해당하는 6개 고등학교의 교사 31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교조직이 덜 관료적으로 운영되는 경우 교사의 학교경영, 인적관리, 학습지도 영역에서 교직전문성 발휘의 기회가 더 많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학교조직의 관료화는 교사의 생활지도와 자기계발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이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교사의 교직전문성이 가장 잘 발휘되어야 할 학습지도 영역에는 관료적 학교조직 운영 풍토가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조직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경영 참여와 인적관리의 민주화 및 학습지도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 스스로 학생에 대한 생활지도가 교사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임을 인식하고, 생활지도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하며, 자발적으로 생활지도의 전문성을 발휘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에게 있어서 지속적인 자기계발은 교직을 모두가 인정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스스로 노력하여야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관료제의 특징
  2. 학교조직의 관료화
  3. 교직전문성
  4.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및 분석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1. 기술 통계
  2. 분산분석(ANOVA)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운종 Kim, Uhn-Jong. 우석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