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과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

원문정보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e Test Tools on Beginning Level

박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much emphas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o our knowledge, no study has attempted to define cultural competence in teaching Korean, what to teach in cultural competence, and how to test cultural competence. We also have to recognize that not many studies exist about cultural competence, that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are diverse, and that the dominant view still regards language and culture as separate ent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cultural competence in literature and thereby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only by considering cultural competence as part and parcel of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can we meet the objective of increa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etence testing, it is suggested, must not embrace general culture only in a broad sens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we come to a general agreement about the standard contents in cultural competence testing. Moreover, the present Korean textbook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objectives of teaching and testing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finally raises several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their relevance to cultural competence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한국어

언어를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강조해 왔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능력이 무엇이며 문화 능력을 위해 무엇을 가르칠지, 그리고 문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고는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은 무엇인지를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 문화내용과 문화 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한 후에 문화 능력의 평가 내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존 문제로 문화능력 평가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문제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문화 능력에 대한 연구가많지 않다는 점, 문화 능력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언어와 문화를 분리해서 바라보는 관점이 아직 더 지배적이라는 점 등을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능력의 개념을 정리하여 문화 능력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정립해 보았다. 그리고 문화 능력을언어와 문화를 따로 보는 문화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을 볼 것이 아니라 한국어 교육 측면 즉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목표에서 문화능력을 바라보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관계 속의 문화 능력을 보아야함을 논의하였다. 문화 능력의 내용은 넓은 의미의 일반 문화를 다 포괄하는 것이 아닌 언어 문화의 문화 능력 내용으로 설정하여야 하며이에 대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문화 능력의 내용의 표준화는 아니더라도 초급 단계에서의 문화 능력의 내용의 합의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최근에 개정된 한국어 교재에서도 문화 내용이 동일하지 않고 문화 능력에 대한 내용도 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어 평가 중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문화 내용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 평가 내용을 중심으로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
 3.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
  3.1.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내용
  3.2. 문화 능력의 평가 내용
  3.3. 한국어능력시험에의 적용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박은하 Park Eunha. 대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