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in Technical Colleg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박대성, 유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in technical colleges with the aim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mployment counselling program which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6 college students studying public health in technical colleges in J province1, J province2, and G metropolitan city and they were randomly selected and sampled in convenience. The period of the survey was from September 7 to 9, 2015 and the survey was made with the use of a self-essay type questionnaire. 510 copies of the survey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the use of SPSS 14.0 for Window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studying public health in technical college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organized and practical career counselling should be provided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ncourage subjects to have posi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ractical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lead students studying public health to positive career preparatory activity, and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 should be conducted.

한국어

본 연구는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1도, J2도, G광역시에 소재한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부생을 임의선정하고 편의표집 한 556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 년 9 월 7일부터 9일까지 자기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 51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문대학 보건계열 학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 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학부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3.4 변수 간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박대성 Dae-sung Park. 광주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유은영 Eun-yeong Yu. 광주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