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xplores how academic strai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have changed over time. And we conducted the longitudinal and complex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ain o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order to search the ways to prevent a vicious circle among them. We used general strain theory as a conceptual research frame and analysed the data of 1,589 respondents of the 2nd∼4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with latent growth modeling.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academic strai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were linearly increased across time. Academic strain initial status positively affected unhappiness initial status and both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change rate of unhappiness positively affected that of mobile phone dependency. Academic strain change rate positively influenced that of mobile phone dependency mediated by unhappiness change rate. We provided useful implications to academic activities, negative emotion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for adolescents and suggested future studies about reasons of the changes of those variables
한국어
본 연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청소년의 학업긴장과 불행감, 휴대전화 의존이 어떠한 변화 추이를 가지 고, 학업긴장의 변화가 불행감과 휴대전화 의존의 변화에 어떠한 종단적·복합적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악순환 을 방지하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긴장이론을 개념적 연구틀로 설정하고,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의 제 2∼4차 한국아동·청소년패널 1,589명의 청소년 응답치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학업긴장과 불행감, 휴대전화 의존은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학업긴장의 초기값은 불행감의 초기값 및 휴대전화 의존의 초기값과 변화율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긴장의 변화율은 불행 감의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불행감의 변화율은 휴대전화 의존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업긴장 의 변화율이 불행감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휴대전화 의존의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과 부정적 정서, 휴대전화 의존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 고, 상기 변수들의 변화의 근거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3 측정도구
2.4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학업긴장과 불행감, 휴대전화 의존의 일반적특성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추이
3.2 학업긴장의 변화가 불행감과 휴대전화의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4.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