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전남지역 사회적기업종사자의 만족도인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atisfaction Recognition of the Employees of the Social Enterprise in JeollaNamdo

정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has been implemented for finding out a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is research, social enterprise employees residing in JeollaNamdo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members. The polled papers had 210 copies of total and 180 copies of recovery. The response results were written as a rule of their own way with advanced visit to them explaining how to write dow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and ANOV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ystem effectiveness of social enterprise is shown to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priority purchase system of local government can be effective. Second, it is shown that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of the social enterprise influences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need of finding out a new business item for a social enterprise to grow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Third, operation difficulty of the social enterprise is not shown to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ther words,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is not influenced by a difficulty arising from not receiving the official recognition from local government on the social enterprise.

한국어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사회적 기업이 지속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조사는 전남 일원에 거주하는 사회적기업종사자를 조사대상자로 선정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210부 중 180부 회수하였고 사전교육과정을 통해 직접 방문하여 응답결과를 기록하는 방법을 원칙으로 자기기입방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T-검정과 구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제도효과성이 종사자만족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기업의 인증제도, 지자체의 우선구매제도가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종사자만족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젓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아이템 발굴의 필요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운영애로사항 이 종사자만족도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방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인정 을 못 받음으로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은 종사자만족도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 기업의 의의 및 개념
  2.2 사회적 기업 육성법의 추진정책 내용
  2.3 사회적 기업성과평가 논의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설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연구결과
  4.1 표본 특성
  4.2 요인분석
  4.3 연구모형 검정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문경 Mun-Gyung Jeong. 순천대학교 사회복지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