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SNS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Privacy Factors on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민현홍, 황기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and the proliferation of SNS, anyone is exposed to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Unlike the prior studies of privac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ivacy factors affecting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This study also analyses how the perceived privacy risks and corporate trust affect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empirical data show that despite experiencing the privacy leakage such as direct hacking and being aware of the risk, people are providing firms with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o perceived privacy risk are information privacy policy, information privacy concern, previous privacy experience and information privacy awareness in the decreasing order of importance. Those to the corporate trust are information privacy policy, information privacy awareness, previous privacy concern and information privacy experience. Besides, the corporate trust and the perceived privacy risk also affect the provision int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implications for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한국어

오늘날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의 확산으로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든지 개인정보 유출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연구와는 달리 SNS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요인과 기업에 대한 신뢰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직접적으로 해킹 등 프라이버시 유출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인지하면서도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 변수 중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프라이버시 정책,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유출경험, 프라이버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에 대한 신뢰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프라이버시 정책, 프라이버시 인식,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침해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과 기업에 대한 신뢰는 모두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이를 토대로 개인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SNS사회와 위험정보사회
  2.2 선행연구
 3.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4. 실증분석 결과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4.3 구조방정식 모델적합도 검정
  4.4 가설검정
 5.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결과 토론
  5.2 학문적 시사점
  5.3 실무적 시사점
  5.4 연구의 한계점
 REFERENCES

저자정보

  • 민현홍 Hyeon-Hong, Min. 숭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
  • 황기현 Gee-Hyun, Hwang.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