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돈화의 우주관과 인간관이 지니는 동서철학 융합적 특징 및 생명철학적 의의 - 『신인철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nd Meanings in Terms of Philosophy of Life of Lee Don-hwa (李敦化)’s Views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 Focusing on “New Human Philosophy (新人哲學)”

황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narrate the key contents of Lee Don-hwa’s (李敦化, 1884-unkown) views of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nd to define their meanings in terms of philosophy of life, focusing on “New Human Philosophy (新人哲學).” In his discussion on the universe, Lee Don-hwa inherited the speculative tradition of Donghak (東學) in which “Hanul” was inherent and at the same time transcendental. Namely, he believed that Heaven itself was an existence surpassing time and space, but within that time and space, it moved dynamically. This view was based on the 19th-century Donghak at the nearest, but in a broader sense it inherited the speculative tradition of the Orient. Lee Don-hwa based his views on philosophy of life of the Orient, but at the same time selectively embraced Henri Bergson’s philosophy of life as well as Japans’ Realism, Spinoza’s concept of natura naturans, the evolution theory, etc. to make the content abundant. On the other hand, in his discussion on human beings, Lee Don-hwa proposed a new concept, “Ingangyeok (man's personality, 人間格)” by highlighting the meaning man can have as an universal existence. Ingangyeok is defined as an ideal personality of human beings as a universal existence, and through this concept, man evolves infinitely as the pivotal existence of the universe while stressing man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other natural existences. The concept of Ingangyeok is basically based on Donghak’s doctrine of “Innaecheon (humans are Heaven, 人乃天)” and Confucian views on human beings, but Lee substantiated the content by absorbing several key ideologies from the evolution theory of the modern West and Bergson’s philosophy of life. The tendency of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which Lee Don-hwa showed in his views o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is meaningful in that he adhered to balanced attitude in terms of critical inheritance or acceptance. Also, unlike the 19th-century Donghak, his philosophy actively absorbed achievements of Western learning on life and is significant in that he substantiated the ideology of Innaecheon. Only it is somewhat regrettable that it made an emphasis on the natural immanence of life and maintained weak respect for nature.

한국어

이 글은 『신인철학』을 중심으로 이돈화의 우주관과 인간관의 중심 내용을 서술하면서 그것이 지닌 동서철학 융합적 특징을 규명하고 생명철학적 의의를 밝힘을 목적으로 한다. 우주에 관한 논의에서 이돈화는 한울이 내재적인 동시에 초월적이라는 동학의 사유 전통을 계승했다. 즉 그는 한울이 그 자체로는 시공간을 초월한 존재이지만, 시공간 안에서 역동적인 운동을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관념은 가까이로는 19세기 동학에 뿌리를 둔 것이지만, 멀리로는 동양의 사유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이렇게 이돈화는 동양의 생명론을 기반으로 하지만, 동시에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을 비롯해 일본의 실재론, 스피노자의 능산적 자연 개념, 진화론 등을 선택적으로 수용해 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한편 인간에 관한 논의에서 이돈화는 우주적 존재로서 인간이 갖는 의미를 부각시켜, 인간격(人間格)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인간격이란 우주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이상적 인격이라 정의되는데, 그는 이 개념을 통해 인간이 우주의 중추적 존재로서 무궁히 진화하면서도, 다른 자연존재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강조했다. 이 인간격 개념 역시 기본적으로는 동학의 인내천(人乃天) 사상 및 유학의 인간관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동시에 그것은 서구 근대의 진화론과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에서 몇 가지 중요한 사상을 흡수해 그 내용을 더욱 충실히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돈화의 우주관과 인간관에 보이는 동서철학 융합적 경향은 동서철학에 대한 비판적 계승 혹은 수용이라는 균형감 있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19세기 동학과는 달리, 그의 철학은 생명에 관한 서양학문의 성과를 적극 흡수해 인내천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19세기 동학이 지녔던 생명의 자연 내재성에 대한 강조 및 자연 경외의 정신이 다소 약화된 점은 아쉽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머리말
 2. 우주관에 보이는 동서철학 융합적 특징
 3. 인간관에 보이는 동서철학 융합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종원 Hwang, Jong-Won. 단국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