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은식의 동학 인식

원문정보

Pak Eun-Sik(朴殷植)’s Perspectives on Donghak(東學)

김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late Joseon, Confucianist’s viewpoint about Donghak[東學] and Donghak revolution[東學革命], regardles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s too critical. It is same to Pak Eun sik’s at that time. But seeing major historical events like Japan-Korea Treaty of 1905[乙巳勒約] an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韓日强制合邦], he and progressive Confucianists had begun to make new interpretations Donghak and its revolution. This paper is research on history of mentality that infer how to form their modern values through the change. Because the change leads to change from tradition based Confucianism to modernity at all. Especially, the focus of this paper is his change to Yangming school. His Yangming school has distinctive feature that the salvationism and the nationalism with Yangji[良知] as the center. It is the philosophical bases that he has criticized Joseon Confucianism which advocates the ruling class of Yangban[兩班] and has newly explained to remake that. So in the Suffering history of Korea(1915) and the Blood history of Korea Independent Movement(1920) made after 1910, he explained that Donghak and its revolution is nation’s positive resistance to get Korea independence and real bases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The other hand, his change of value gives the important message now. Because tradition of our generation brings fixation and adhesion on objective reality and can hardly even adjust and change. I hope that the tradition is not just followed to the past meaninglessly but restructured modernly.

한국어

구한말 동학과 동학혁명에 대한 유교지식인들의 평가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매우 비판적이었다. 이는 박은식에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을사늑약과 한일강제합방 등 이 시기 일련의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박은식을 비롯한 개혁적 유교지식인들에게 동학과 동학혁명은 새롭게 긍정적으로 해석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추적하여 그들의 근대적 가치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추론하는 지성사적 연구이다. 이 변화들은 결국 그들의 근대적 전환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박은식의 변화를 그의 양명학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의 양명학은 ‘양지’를 중심으로 ‘구세주의’, ‘국민주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그가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변해 온 조선의 전통 성리학을 비판하고 근대적 시각에서 새롭게 유교를 해석하고 창조하는 철학 배경이었다. 그러므로 1910년 이후 작성된 『한국통사』(1915), 『한국독립운동지혈사』(1920)에서 그가 바라본 동학과 동학혁명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국민의 적극적 투쟁으로 1919년 3.1운동의 실질적인 배경으로까지 재평가된 것이다. 이러한 그의 가치관 변화는 현대에도 중요한 메시지를 준다. 현재 우리사회에 나타나는 전통은 대체로 현실 긍정과 묵수에만 머물러 있고 변화와 혁신으로 다가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유교를 중심으로 한 전통의 회복에 있어서 과거에 대한 답습보다 그 가치에 대한 현대적 재구성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글
 2. 겸곡문고의 동학인식 : 東學과 東匪
 3.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동학 인식: 손병희와 천도교
 4. 『한국통사』의 동학 인식 : 미완의 혁명
 5. 한국독립운동지혈사의 동학인식: 한국 독립의 시대정신
 6.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우 Kim, Hyon-Woo. 성균관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