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의 한국양명학

원문정보

Sincere Mind (實心) and Empathy (感通) in Korean Yang-ming Studies

김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cholars of Korean Yang-ming studies put great emphasis on ‘sincere mind’ (實心) and ‘empathy’ (感通). The origin of ‘sincere mind’ and ‘empathy’ can be found from Woo-gye (牛溪) Seong Hon (成渾) and Yul-gok (栗谷) Lee I (李珥), the Confucian scholars of Gi-ho (畿湖) system in the 16th century; and those concepts were widely developed in the 17th century with great figures such as Gye-gok (谿谷) Jang Yu (張維), Ji-cheon (遲川) Choi Myeong Gil (崔鳴吉) and Myeong-jae (明齋) Yun Jeung (尹拯). In the period of Gang-hwa school (江華學派) and Ha-gok (霞谷) Jeong Je Du (鄭齊斗) in the 18th century, they came into bloom and then in the 19th century, with Wi-dang (爲堂) Jeong In Bo (鄭寅普) and his work titled “Expositions of Yang-ming studies” (陽明學演論), they reaped the fruits. Yang-ming studies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to Joseon [here Joseon means Korea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ang-ming studies in Joseon were not merely a dogmatic imitation of Chinese Yang-ming studies. Yang-ming studies in Joseon were formed as a way or a plan to resolve urgent problems of the then society of Joseon with which Yang-ming scholars were confronted. Those problems included the dogmatism and the fundamentalism that did not accept any theoretical diversity, the nominal dogmatism and imitation of Zhu Xi studies, the unpractical intellectualism, the spirit of ‘revering Ming dynasty and ostracizing Qing dynasty’ (崇明排淸), ‘the rejection of the negotiation’ (斥和論) which concentrated only on social status (名分) and avoided all changes of the period, and the disregard for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etc. Confronting those problems, the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suggested and emphasized much on ‘sincere mind’ and ‘empathy’ as an effective plan. It can be said that Korean Yang-ming studies are the convergence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Chinese Yang-ming studie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in Joseon, on the one hand, inherited the Neo-Confucianism of Seong Hon and Lee I, on the other hand, accepted Yang-ming studies from China, and as the result, Yang-ming studies of Joseon as a new theory was formed. Here we can find ‘the openness’, ‘the identity’, ‘the creativity’ of Yang-ming studies of Joseon. Furthermore, they did not remain at the mere theoretical field, but - through the ‘sincere mind’ - tried their best to estimate the real problems of the era, and based on the feeling that ‘sufferings of the people were of them themselves’, they tried to resolve those problems, from offering the help to the people to reforming the social system, by means of ‘adaptability’ (權道). Here we can see their ‘practical spirit’ and ‘consciousness of loving people’. Those features of Yang-ming studies of Joseon - ‘the openness’, ‘the identity’, ‘the creativity’, ‘the practical spirit’ and the ‘consciousness of loving people’ - are the very features of Korean Yang-ming studies as a theory of ‘sincere mind’ and ‘empathy’. ‘Sincere mind’ (實心) means an innately honest heart without false, pretense and selfishness. It is the very ‘humane heart’ (仁心), the ‘honesty’ (誠) that Lee I mentioned, and the ‘innate knowledge of the good’ as Wang Shouren called. The main abilities of the ‘sincere mind’ are, first, the honest viewpoint of the reality that looks everything as it is, without adding or cutting any details even the smallest ones. Second, the ability to make correct judgments about the reality as a subject appropriate for and adaptable to situations (時中 and 權道). Third, the direction of the positive practical activities to settle and reform situations, as a practical subject. Forth,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sincere mind is that it is the subject of ‘empathy’. Only when someone has sincere mind can he feel the difficulties and sufferings of all the people – regardless of any differences – as his own pains. Feeling those pains, he will not disregard the pains of the people, and when not disregarding the pains of the people, he will try his best to alleviate people’s sufferings through the reformation of the society or other practical activities. Seong Hon, Lee I, Choi Myeong Gil, Yun Jeung, and Jeong Je Du,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y directly confronted the reality, criticizing the then social forces with vested interests which were restrained by artificiality, the social status and the formalism, feeling sympathy for the people, seeking to comfort their sufferings by reforming the social system or doing other practical activities. ‘Sincere mind’ and ‘empathy’ are not only some antiquities of the past. The free market system and the neo-liberalism nowadays put much emphasis on the competition based on the egoistic individualism, hence the economic inequality between individuals is regarded as natural. In the era of division and conflict dominated by the egoism, the ‘sincere mind’ and ‘empathy’ can send us a new message. According to that message, we must restore the ‘sincere mind’ which does not separate ‘that thing’ and ‘this thing’, the inner and the outer, but connecting you and me into ‘one body’ and making us feel that ‘you are me’. Only doing that can we feel the pains of others groaning under the conflicts and disagrees of the limitless competition as our own pains. And only with that ‘empathy’ can we take the first step to heal the pains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e empathy will be concretized into the ‘attention’ and ‘concern’ of the humankind, and by doing that, we can build up a society where the pains are cured and everybody shares the symbiotic and cooperative life. Now is the time when the ‘sincere mind’ and ‘empathy’ must be expressed into the attention, the concern, the therapy and the symbiosis.

한국어

한국양명학자들은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을 매우 중시한다. ‘실심’과 ‘감통’의 뿌리는 16세기 기호(畿湖) 계열의 유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에서 찾을 수 있으며, 17세기 계곡(谿谷) 장유(張維)와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 그리고 명재(明齋) 윤증(尹拯)을 통해 계승된다. 그리고 18세기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江華學派)에 이르러 꽃을 피우고, 19세기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에 이르러 󰡔陽明學演論󰡕으로 결실을 맺는다. 양명학 자체는 중국으로부터 조선에 전래되었다. 그렇지만 조선에서의 양명학의 형성과 전개는 단지 중국양명학을 맹목적으로 답습하거나 교조주의적으로 추종한 것은 아니다. 조선에서의 양명학은 조선의 현실, 특히 양명학자들이 자신이 살던 시대에 그들이 직면한 절실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롭게 정립되고 창조되었다. 이들이 직면한 시대 문제는 학문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교조주의와 원리주의, 주자학에 대한 학문적 답습과 맹목적인 교조주의, 실천하지 않는 주지주의, 명분(名分)에만 매몰되어 시대의 변화를 담아내지 않는 숭명배청의식(崇明排淸)과 척화론(斥和論), 그리고 개인과 당파적 이익에의 매몰, 백성들의 고통에 대한 외면 등이다. 이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심’과 ‘감통’을 제안하고 중시하였던 것이다. 한국양명학은 조선성리학과 중국양명학의 융복합의 산물이다. 조선의 양명학자들은 한편으론 성혼과 이이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 다른 한편 중국의 양명학을 수용하여 성리학은 물론 중국양명학과도 다른 조선의 양명학을 탄생시킨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조선양명학의 ‘개방성’, ‘주체성’과 ‘창조정신’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지 관념적 지적 유희의 차원에 머물지 않았다. 실심으로 시대의 문제를 진단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느끼면서 권도(權道)를 통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고 백성들을 고난으로부터 구제하고자 제도의 개혁은 물론 몸소 실천하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여기서 ‘실천정신’과 ‘애민의식’을 읽을 수 있다. 조선양명학이 보여준 ‘개방성’, ‘주체성’, ‘창조정신’, ‘실천정신’, ‘애민의식’이 바로 ‘실심과 감통의 한국양명학’의 특징이다. ‘실심(實心)’은 허위와 가식과 이기심이 완전히 제거된 천부적인 진실 된 마음이다. 이이가 말하는 ‘성(誠)’이요 왕수인이 말하는 ‘양지’요 ‘인심(仁心)’이다. 실심의 주된 공능(功能)은 첫째, 현실을 터럭만한 보탬이나 덜어냄 없이 있는 그대로 본다는 점이다. 둘째, 실심은 시중(時中)과 권도(權道)의 주체로서 사태의 시비를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실심은 개혁과 사태 해결을 위한 실천 주체로서 적극적인 실천 행위를 이끌어 낸다는 점이다. 넷째,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실심은 감통의 주체라는 것이다. 실심이 있을 때만이 피차(彼此)와 내외(內外)의 간극(間隙)이 없이 민중들의 고난과 고통을 나의 아픔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아프기 때문에 민중들의 아픔을 외면할 수 없고,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제도의 개혁이나 실체적인 실천행위를 통해 민중들을 고통으로부터 구제하고자 애쓰게 되는 것이다. 성혼, 이이, 최명길, 윤증, 정제두, 정인보는 실심으로 현실을 직시하고 허위와 가식과 명분과 형식에 얽매인 당시 기득권 세력들을 비판하고 백성들과 감통하면서 때론 제도의 개혁을 통해 때론 실천을 통해 백성들의 고통을 어루만지면서 이들을 고통으로부터 구제하고자 노력하였다. 실심과 감통은 단지 과거의 유물이 아니다. 오늘날 자유시장경제체제와 신자유주의는 이기적 개인주의에 입각한 경쟁을 중시하기 때문에 개인 간의 경제적인 불평등을 당연시한다. 이기심이 지배하는 분열과 갈등의 시대, 실심과 감통은 우리에게 새로운 메시지를 전해준다. 피차(彼此)와 내외를 나누지 않고 너와 나를 하나의 생명으로 연결해주는, 남을 나로 느끼는 ‘실심’을 회복해야 한다. 그래야만 무한 경쟁의 대립과 갈등 속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감통’이야말로 현대인들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감통은 고통 받는 인류에 대한 돌봄과 배려로 구체화되고, 이를 통해 아픔을 치유하고 모두가 함께 더불어 사는 공생과 상생의 사회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제 실심과 감통은 돌봄과 배려와 치유와 공생의 아이콘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해야 할 때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실심과 감통의 뿌리 – 성혼과 이이
  1) 우계 성혼의 실심(實心)과 변통(變通)
  2) 율곡 이이의 실심(實心)과 무실(務實)의 경장(更張)
 3. 실심과 감통의 실천적 전개 – 최명길과 윤증
  1) 지천 최명길의 실심과 권도(權道)
  2) 명재 윤증의 실심(實心)과 실공(實功)
 4. 실심과 감통의 만개 – 정제두와 강화학파
  1) 감통의 주체인 실심양지(實心良知)
  2) 실심양지의 현실적 감통과 만개
 5. 실심과 감통은 결실 – 정인보
  1) 실심(實心) 부재의 허학(虛學)과 가행(假行)에 대한 비판
  2) 실심양지(實心良知)와 감통(感通)
 6. 나오는 말 – 감통양명학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세정 Kim, Sea-Jeong. 충남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