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용휴 문학에 나타난 서학적 개념의 수용과 변용

원문정보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Western Learning(西學)‘s Concepts Appeared in Lee Yong-hyu's Literature

하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the western learning reflected in Lee Yong-Hyu’s literary works. Lee Yong-Hyu was an author in the eighteenth century with an open attitude to new thoughts from the Qing Dynasty. Moreover, several members of his family and colleagues embraced Catholicism. Thus, Lee Yong-Hyu is expect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western learning as well. In Dear Jeong Jae-jong (贈鄭在中), Lee quoted “A Blind Man’s Tale” from the book of The Seven Victories (七克)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rospection” and “moral training.” In Hwanajam (還我箴), he swore an oath to God that he would recover his “real self” (in this context, the “real self” strongly appears as a meaning of a moral subject, which differs from an external object). The word “independence (自主)” that Lee wrote in Aamgi (我菴記) also implies a strong identity that is not swayed by other people or external objects. Lee Yong-Hyu’s concepts of “I (我)” and the real “I (眞我),” with such a strong identity and internality, are related to the concepts in western learning books translated into Korean. In addition, Lee often ascribed personality and non-randomness to the world-moving power, or reason, through expressions, such as “jomul (造物),” and “johwa (造化).” In Bangseonghonyimyung (方星渾儀銘), in particular, the author adopted a form of reasoning from western learning books translated into Korean, such as Manmuljinwon (萬物眞源), to deny all creation’s self-fulfillment (自成) and to stress on jumul’s non-randomness. Lee, however, insisted on recognizing jomul (造物) as a sort of external object and preserving the identity of “I (我)” so as it would not be affected by the fate made by jomulju (造物主). It is believed that this kind of thought system could prevent the notion of jomul from being expanded to a religious matter. Traces of western learning found in Lee Yong-Hyu’s sentences reflect the efforts by an intellectual in the Joseon period to absorb western learning as long as the western concepts did not conflict with his own frame of thought and to modify these concepts in an appropriate manner. Lee’s writings can present illustrations of how the impact of western learning in Joseon’s intellectual world went beyond the Confucian classics, religion, science, and even literature.

한국어

18세기 문인인 이용휴는 당시 유입되던 새로운 사유에 개방적인 태도를 지녔으며, 그의 주위 인물들 중 천주교를 믿는 인물이 있었던 만큼, 서학의 영향권에 위치한 인물로 논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용휴 작품에서 서학의 영향이 드러나는 지점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贈鄭在中」에서 이용휴는 서학서인 󰡔七克󰡕의 맹인 설화를 인용하여, “내적 응시”와 “수양”을 강조하였다. 「還我箴」에서 그는 “진아”를 회복할 것을 신 앞에서 맹세하는데, 이때 “진아”는 외물과 구분되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의미가 강하게 드러난다. 「我菴記」의 自主 개념 역시 타인과 외물에 휘둘리지 않는 강한 주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강한 주체성과 내면성을 지닌 이용휴의 我, 眞我 개념은 한역 서학서의 그것과 겹쳐지는 지점이 있다. 또 이용휴의 작품에서는 ‘조물’, ‘조화’라는 표현으로 세계를 운용하는 힘, 혹은 이치에 인격성과 작위성을 부여하는 경우가 흔히 보인다. 특히 「方星渾儀銘」에서는 󰡔萬物眞源󰡕 등의 한역 서학서에서 만물의 自成을 부정하고 조물의 작위성을 강조하는 논리를 끌어온 것이 확인된다. 하지만 이용휴는 “조물”마저도 일종의 외물로 파악하고 조물주가 만든 운명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아”의 주체성을 보존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유체계는 ‘조물’에 대한 관념이 종교적인 것으로 확장되는 것을 견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휴의 문장에서 확인되는 서학의 흔적은 바로, 적어도 이 시대의 조선 지식인이 자신의 사유의 틀과 충돌하지 않는 차원에서 서학을 흡수를 하고, 이를 알맞게 변용해 나간 흔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용휴의 문학은 서학이 조선 지성계에 일으킨 파장이 경학, 종교, 과학뿐 아니라 문학에까지 이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실례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외면의 눈과 내면의 눈
 Ⅲ. 진정한 나로 돌아가기
 Ⅳ. 조물의 인격성과 작위성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지영 Ha, Ji-young. 고려대 BK21플러스 한국어문학사업단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