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통모형

Space Syntax Theory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확률적 보행네트워크 배정기법

원문정보

A Vine-Based Stochastic Loading Technique in Pedestrian Networks Considering Space Syntax Theory

김종형, 이미영, 남두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valuation of the walkability of the urban pedestrian network requires construction of a pedestrian network model that reflects Space Syntax Theory. Space Syntax Theory deduces an integration value through which materials for evaluation of the pedestrian network’s connectivity can be produced; and can aid in illustrating the ease of walkability through the model’s calculation of pedestrian indices such as movability, comfort, and safety. But the representation of space syntax theory in the pedestrian network requires that turn delay be added by means of a network-type construction method. While tree-based Dial Algorithm proposed for the logit-based probability walkability distribution model may be effective for link-based pedestrian volume distribution, it requires further network expansion to reflect turn delays. In this research, Vine-based Dial Algorithm is executed in order to obtain a measure reflecting the integration value for Space Syntax Theory. The Vine-based Dial Algorithm of two adjacent links, which forms the minimum unit of the Vine network, has the advantage of encompassing turn delay, and thus eliminates the need for network expansion. Usage of the model to evaluation of complicated pedestrian spheres such as urban roads is left to further research. Especially the progression of the proposed method is deduced through case study.

한국어

도시부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해서 Space Syntax Theory(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보행모형 구축이 요구된다. 공간구문론은 통합도를 도출하여 보행로의 중심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지료를 제공한다. 보행모형은 이동성, 편리성, 안 전성의 보행지표로서 보행성을 나타내는 정량적 판단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보행네트워크에서 공간구문론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회전지체 반영을 위한 네트워크구축기법의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나무기반 Dial 알고 리즘은 회전지체 반영을 위하여 네트워크확장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과 공간구문론의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은 인접링크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회전지체를 포함하는 3단계 수행과정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크확장의 우회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간구 문론의 축노드와 축노드가 만나는 시각교차점에서 회전지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시 각거리와 물리거리를 일치시키는 측면에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이 활용이 필요하다. 도시부도로와 같이 보행이 복잡한 권역의 평가를 위해서 활용이 가능함을 향후 연구로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기법의 수행과정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덩굴망과 회전지체
  2.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과 회전지체
  3. Space Syntax Theory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
 Ⅱ. 나무기반 및 덩굴망기반 Dial알고리즘
  1. 나무기반 Dial 알고리즘
  2.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
 Ⅲ. Space Syntax Theory의 통합도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
  1. Space Syntax Theory의 통합도[7]
  2. 축노드와 보행네트워크 회전지체
  3. 공간구문론을 반영한 덩굴망기반 Dial 알고리즘
 Ⅳ. 사례연구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종형 Jong Hyung Kim.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 이미영 Mee Young Lee.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남두희 Doo Hee Nam. 한성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