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매체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패션과 한국 패션 고찰 (1) -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노라노 관련 영화 의상 자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Nora Noh Fashion and Korean Modern Fash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dia (1)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Media Related to Nora Noh’s Movie Costumes from the mid 1950’s to mid 1960’s -

박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phenomenon of Korean women's fashion and Nora Noh, who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rough media materials from the 1950s to the 1990s. This research is structured into two parts and the current paper is the first section. The first paper is to examine the post-traditional phenomenon of Korean modern fashion and analyse the movie costumes of Nora Noh from 1955 to 1966. The research focuses on the objective materials by examining newspapers, leaflets of fashion shows, program sheets, movie posters and etc. The methodologie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qualitative and posi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nterviewing Nora Noh and analyzing the conte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own through the research (1). Before the Korean War, Korean women’s fashion was affected by female students who studied aborad or in local women’s Universities established by foreign entities and female missionaries who experienced western culture. The era was the in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However, after the war, the fashion trend was mainly l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The era switched to the direct post-traditional period. Nora Noh, who was inspired by the French and American fashion, and Kyungza Choi who was inspired by the Japanese fashion system were the trend leaders of the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Focusing on the movie costumes Nora Noh created the images of movie stars such as the muse of the Femme Fatale, Jeehee Choi, Um Aingran who were called Korean Audrey Hepburn, etc. The images of the movie stars were the bridges of the western fashion style into the public and became the key trend of Korean modern fashion in the mid twenty centur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디자이너 노라노 소장 자료와 연구자 수집 노라노 관련 인쇄매체자료를 분석하여 노라노 패션과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 양상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는 연구(1)과 연구(2)로 나누어 개진되며, 본고인 연구(1)에서는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배경과 1956년부터 1966년까지의 노라노 영화 의상을 분석하여 탈전통화기의 트렌드와 영향을 고찰하고, 후속연구인 연구(2)에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인쇄 및 영상 매체자료를 분석하여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들을 재검증하고 한국 여성 패션 현대화의 주요 사건들을 객관적 자료에 근거해 추출할 것이다. 본고는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 분석대상을 연구대상자 소장 패션쇼 리플렛, 촬영시점이 기록된 사진자료, 신문, 패션전문잡지, 영화포스터 그리고 신문 박물관과 한국영상자료원 소장 자료들로 국한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이다. 또한 연구는 사실검증을 위해 노라노와의 심층면담을 세 차례 진행한다. 연구(1)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 이전 한국 패션의 탈전통화 현상은 서양문물의 단순한 유입이 아닌 전도부인, 여학생, 유학생 등의 시대의 패션 리더들에 의해 구축된 것이었으며 이 시기는 간접적 탈전통화시대이다. 반면 전쟁 이후 스타일은 양장점에서 디자이너 브랜드로 도약한 최경자, 노라노, 서수연 등의 제1세대 디자이너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 시기는 우리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기 시작한 직접적 탈전통화 시기이다. 프랑스와 미국의 영향을 받은 노라노는 일본 패션 시스템에 영향을 받은 최경자와 함께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스타일을 주도하였다. 노라노의 영화의상 분석결과 노라노는『아름다운 악녀(1958)』의 최지희를 팜므파탈의 여신으로,『배신(1964)』의 엄앵란을 한국의 오드리 헵번으로 만드는 등 여배우들의 스타일을 통해 국외의 트렌드를 국내에 전파시켰다. 해당 영화배우들의 스타일은 20세기 중반 한국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였으며 한국 패션의 현대화에 일조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방법론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 여성 패션의 현대화와 복식의 탈전통화
  2. 선행연구 분석
 Ⅲ. 매체 자료 분석을 통해 본 노라노 영화 의상 현황
  1. 영화 의상 입문 배경
  2. 분석대상 영화 자료 현황
 Ⅳ.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 중반 노라노 영화 의상의 모티브와 스타일 분석
  1. 전통 복식과 중국 복식의 융합 그리고 서양 패션의 차용
  2. 팜므파탈 스타일의 구축
  3. 오드리 헵번 이미지의 재현과 역할의 대비
  4. 프랑스 오트 쿠튀르 디자이너의 스타일과 미국 칼리지 룩의 영향
 V.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박신미 Park, Shin Mi. 국립안동대학교 의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