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치 환경 변화가 국기(國旗)에 미친 영향 : 구 유고연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olitical Change on the National Flag : Focusing on the Former Socialist Yugoslav Federation

김세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ational flag is a national symbol that expresses the values, ideals, history and tradition that the nation pursues with visual images. Therefore, if the political ideology and the political system are changed,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flag design is raised. From this point of view, I have noticed the changes in the flag of the former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 republics, which had undergone extreme political upheaval i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from the federation since Yugoslav wars in 1991.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ree themes : firstly, how the symbolic elements of the new national flag design were selected and secondly which of the elements of the national flag of the Yugoslav Federation state were excluded. Lastly, what did make differences in the design of new national flags.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flags of each newly born states were changed to a considerable level of color and major motifs after independ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categorize into three as follows: First type is Slavic tricolor complemented by former national emblems. The second type is the design, which excludes the Slavic tricolor flag pattern and adopts medieval or ancient royal coat of arms. The third one is benchmarked the flag design of the European Union. In conclusion, the differentiation of national flag designs was closely related to the ethnic composition of population and religious distribution of each republic.

한국어

국기는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와 이상, 역사와 전통을 하나의 시각 이미지로 표현한 국가 상징이기에 국가의 정치이념과 정치체제가 바뀌면 국기 디자인의 개정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기의 색상과 도안은 그 나라의 역사·전통·문화·종교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고유한 기원과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이런 관점에서 1990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에서 독립하는 과정에서 나라마다 민족구성과 종교분포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극심한 정치적 격변을 겪었던 각 공화국들의 국기의 변화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들 국가가 새로운 국기를 제정하는데 어떠한 상징요소들이 추가되었고 과거의 국기에서 어떤 요소들이 배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국기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유고연방 시절에는 큰 차이가 없었던 각 공화국의 국기들이 독립후 다양한 형태로 바뀌었는데 이를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로 슬라브 삼색기를 활용하되 과거 전성기때의 국장(國章)이나 왕실 문장(紋章)을 가미한 디자인, 두 번째는 슬라브 삼색기를 배제하고 전성기 때의 국장을 채택한 디자인, 세 번째, 유럽연합(EU)의 깃발 디자인을 벤치마킹한 경우다. 그런데 이러한 국기 디자인의 분화는 각국의 민족구성 및 종교분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기독교를 믿는 자민족이 절대 다수인 경우는 슬라브 삼색기를 채택한 반면, 기독교를 믿는 자민족의 비율이 과반 내외인 경우는 슬라브삼색기를 배제하고 과거 전성기때의 국장(國章)을 채택하였으며, 무슬림인구 비율이 우세한 경우는 유럽연합기의 상징요소들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국가 상징으로서의 국기
 2. 국기(國旗)의 기원과 기능, 기학(旗學)
  (1) 국기의 기원 및 기능
  (2) 기학(旗學Vexillology)
 2. 국기와 상징이론
  (1) 상징과 추상
  (2)메리엄(Merriam)의 상징이론
  (3) 국기의 상징요소
  (4) 국기의 색상과 의미
  (5) 국기의 상징요소와 정치, 사회적 특성
 3. 유고연방의 역사
 4. 구 유고 연방 공화국들의 국기 변천
  (1) 유고슬라비아
  (2) 세르비아
  (3) 슬로베니아
  (4) 크로아티아
  (5) 마케도니아
  (6) 몬테네그로
  (7)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8) 코소보
  (9) 유럽연합기
 5. 구 유고연방 공화국들의 국기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1) 국기 변화 유형
  (2) 국기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6.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세원 Kim, SaeWon. 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