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2016 Elections : Political Consciousness Change of Busan Voters and Regional Development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ims to analysis about how the politics of Korea will change and especially how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Busan voters will change. Because Busan is stronger an action and emotion of saenuri party but it can be a force to 1ead to a change in politics in the Korea. Political awareness political participation of voters was a positive and change positively in the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s, parliamentary elections and local elections. In particula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from 19 to the age of 30 had been rising higher than any other generation.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changed Both parties system and electoral vote rate between the candidates is also showing a slight difference of around 2%. As well as, the policy elections were higher than political party and the person/capability in elections. Like this mood it was also changing political consciousness of Busan voters. Turnout wa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urnout of Busan, the rise in turnout was greater than in other regions. and bipartisan system of the ruling Democratic consolidation party and saenuri party was formed in the 19th elections. Democratic consolidation party won the regions of the Sasang and Saha in the 19th elections. and other four were formed the engaging area of about 5%. In particular, Busan voters are moving away from regionalism and while other areas voters favored the political party and the person/skills, Busan voter have preferred a person/skill and policy. Also in most other areas of election information obtained path is a family friend/ neighbor and receives a lot of conversation, while Busan is affected by its influence lowest. In addition, candidates were selected and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routes of the party promotions, election posters and election publications, the candidate distance of speech, the internet and visit the NEC home page. Therefore, candidate running for election must prepare of the policy development related to Busan.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정치지형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부산 유권자의 정치의식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부산은 새누리당의 텃밭이라는 정서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곳이지만 부마항쟁의 시발점으로 한국 정치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동 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그리고 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정치인식과 정치참 여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특히 19세부터 30대 중반까지 젊은 세대들 의 정치참여의 폭이 다른 세대들보다 더 높게 상승하고 있었다. 또한 대통령 선거에서 알 수 있듯이, 예전의 다당제의 흐름이 아닌 집권여당과 제1야당의 양당구도로 변화하고 있으 며, 대통령 당선자와 2위 후보자간의 선거득표율 차이도 2%내외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소속정당과 인물/능력보다도 정책선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와 마찬가지로 부산 유권자의 정치의식도 변화하고 있었다. 부산의 투표율 은 전국 평균 투표율 보다 높았고, 다른 지역에 비해 투표율의 상승폭이 컸다. 그리고 우리 나라 선거지형 변화와 마찬가지로 19대 총선에서는 뚜렷하게 집권여당인 새누리당과 제1여 당인 민주통합당간의 양당구도가 형성되었고, 사상지역과 사하갑 등 선거지역 2곳은 민주통 합당이 차지하였고, 그 외 4곳은 5%내외의 접전지역이 형성되었다. 특히 부산지역 유권자 는 지역주의에서 탈피하고 있으며, 대체로 다른 지역은 소속정당과 인물/능력, 정책정당을 선호한 반면 부산지역 유권자는 인물/능력과 정책정당을 다소 더 선호했다. 또한 선거정보 획득경로에 있어서도 대부분 다른 지역은 가족 친구/ 이웃과의 대화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 는 반면 부산은 그 영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지역과는 달리 다양한 정보경로 를 통해서 후보자를 선택하고 있었으며, 정당후보자의 홍보물, 선거벽보 및 선거공보, 후보 자의 거리연설, 인터넷과 선관위 홈페이지 등을 개별 방문해서 후보자를 스스로 판단하고 있었다. 따라서 20대 총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는 부산 지역발전에 부응하는 정책으로 유권자에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의 정치지형 변화와 부산
Ⅳ. 부산 유권자의 정치의식 변화와 선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