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합병원 병동부 개선을 위한 건축계획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Ward Improvement in General Hospital

변재형, 문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planning directions through the derivation of improving way by functional spaces in hospital ward. Research method includes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unctional spaces for the patients, the nurses, and the public of selected hospitals. The sample hospitals are consisted of 3 local hospitals, 2 recent hospitals in Korea, and 2 recent hospitals in Japan. Some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Around 35 beds are suggested as the number of beds per nursing unit considering the nursing trend and comprehensive nursing care. Nurses’ station should be located in the center of nursing unit for the consideration of nurses’ observation and travel distance. Small number bedroom(1-3 bedroom) may share more than 30% in total and maximum bedroom may not exceed 4 bedroom in the light of patient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fection prevention. Module for bedroom may be at least 6.6m*6.6m for multi-bedroom and 3.3m*6.6m for private/semi-private bedroom. For area per bed, small number bedroom may exceed 10㎡ and large number bedroom may exceed 15㎡. Bathroom should be attached to the all bedrooms for patients’ convenience and privacy. Ancillary rooms for nursing unit must be appropriate in size and separated by clean and dirty zone. Public toilet is necessary for the visitors and the case of bathroom breakdown in patient room.

한국어

본 연구는 종합병원 병동부에서 기능 공간별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건축계획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병동부를 대상으로 환자 전용 공간, 간호 전용 공간, 공용 공간으로 분류하고, 조사 대상병원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론으로 주요사항을 용약하면 다음과 같다: 간호단위당 병상수는 35병상 내외로 제안. 간호대기소는 병실군의 중앙에 배치. 소인병실의 비율은 30%이상 확보 및 다인병실은 4인실 이내. 병실의 모듈은 다인실 6.6m*6.6m, 소인실 3.3m*3.3m로 제안. 화장실은 모든 병실 내부에 설치. 간호부속실은 적절한 규모로 청결과 오염으로 구분. 엘리베이터는 환자의 편의를 고려하고 15병상당 1대 이상 설치. 공용화장실은 방문객과 병실 화장실 고장시를 대비하여 설치.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선행연구 고찰
  2.1 병동의 계획
  2.2 병동부의 공간구분
 3. 대상 병동의 분석
  3.1 병동 전반
  3.2 환자 전용 공간
  3.3 간호 전용 공간
  3.4 공용 공간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변재형 Byun, Jae-Hyoung. 군산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졸업
  • 문창호 Moon, Chang-Ho. 군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