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평가항목 개발 : 델파이 연구

원문정보

Developing Evaluation Item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 Delphi Study

송아영, 이재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used to measure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s :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32 community and stroke-related expert panels using the Delphi method. The first survey gathered opinions through items reconstructed using closed-ended·open-ended question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while the second survey determined the goodness of fit and its importance. The third survey was a final check of the opinions by providing a response and results to the second survey. Results : A total of 38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Delphi results. For the second Delphi results, five items showing a value of .33 or lower for the content validity ratio were removed to make a total of 33 items. For the third Delphi results, the 33 items were deemed to be fit, and were therefore selected. Finally,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 of the Delphi results was .93, the stability was .11, the convergence was .40, and the consensus was .83, which are regarded as high score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em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in their community were developed. In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set of data to promote more participation by stroke patients in their communities.

한국어

목적 :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및 뇌졸중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3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3회 실시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1차에서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폐쇄형·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재구성된 항목으로 의견을 수집하였고, 2차에서는 적합도 및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3차에서는 2차의 결과와 본인의 응답을 제시하여 의견을 최종 점검하였다. 4개월간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4개 영역에 42개의 항목 중 1차 델파이 결과에서 38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 .33 이하의 값을 보인 5개 항목을 제거하여 3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 3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33개 항목 모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어 최종 3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최종 델파이 결과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93, 안정도는 .11, 수렴도는 .40, 합의도는 .83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개발하였으며,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측정의 합의를 제시하였다. 향후 뇌졸중 환자들의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과정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참여에 관한 측정도구 항목 분류
  2. 1차 델파이 결과
  3. 2차 델파이 결과
  4. 3차 델파이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송아영 Song, A-Young.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