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초록
영어
Hanging paintings are used for special ceremonies in Buddhist temple. They are stored in special storage box called “Gwaebulgwae” which means storage box for a hanging painting. Studies regarding pigments, background fibers and textiles of hanging paintings are carried out with many data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science.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for the axes of hanging paintings and storage boxes. In this study, species identification for wooden axes of hanging paintings and storage boxe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carried out.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Magoksa temple, Sudeoksa temple, Gaeamsa temple, Sudosa temple, Bukjangsa temple, Dorimsa temple, Tongdosa temple and Daeryeonsa temple are selected. Sampling is carried out from the axes of hanging paintings and storage boxes. 81 samples are collected from hanging paintings and storage boxes. As a result, 51 hard pines of Pinus spp., 8 Tilia spp., 6 Juniperus spp., 5 soft pines of Pinus spp., 4 Tsuga spp., 3 Pseudotsuga spp., 2 Berchemia spp., 1 Pyrus spp., 1 Bambusoideae are identified. Tsuga spp. and Pseudotsuga spp. might be used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works in modern times because those species do not naturally grow in Korea. Most hanging paintings and storage boxes are made of hard pine. Also, some of are made of Tilia spp., because it represents the symbol of Buddha. Some unique kinds of trees used for wooden sculpture are identified, such as Juniperus spp. and Berchemia spp. Authentic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works could be carried out with this data-base.
한국어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3.1. 수종분석 결과
3.2. 목재 해부학적 특징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