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예산 목리유적 회격묘의 재질 및 제작특성과 석회의 산지 해석

원문정보

Interpretation of Limestone Provenance, Materials and Making Characteristics for Lime‐Soil Mixture on Tomb Barrier of the Yesan Mokri Site in Joseon Dynasty

이찬희, 조지현,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provenance of raw materials and making technique of lime-based materials used in the tomb barriers of the Yesan Mokri tombs from Joseon dynasty on the basis of analysis to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In the barrier materials, dry density and porosity are the highest value (1.82 g/cm3) and the lowest value (25.20%) in the south wall of No. 1 tomb, respectively. Dry density and porosity are inversely proportional in all barrier materials, but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which is the highest value of 182.36 kg/cm2 in the No. 2 tomb, does not show an interrelation with porosity and density. Mineral components in the lime-soil mixtures of the tomb barrier are mainly quartz, feldspar, mica and calcite about 200 to 600 μm size with yellowish brown matrix. Hydrotalcite and portlandite are detected in the lime mixture, and kaolinite in the soils. The lime materials of the tomb barrier occurred in large quantities weight loss and variable endothermic peaks caused by decarbonization reaction of CaCO3 in the range from 600 to 800℃ in thermal analysis. Making temperature of lime for the tomb barrier is presumed approximately about 800℃ based on the occurrences, compositions and thermal analysis. The tomb barriers are revealed to very wide composition ranges of major elements and loss-on-ignition (22.5 to 33.6 wt.%) owing to mixture of the three materials(lime, sand and clay). It is interpreted that low quality construction technique was applied as the limes are very heterogeneous mixture with aggregates, and curing of the lime was poorly processed in the tomb barriers. Possible limestone sources are distributed in many areas around the Mokri site where limestone conformation and quarries for commercial production are found within Yesan and Hongseong areas. Therefore, we estimated that raw materials were possibly supplied from the local mines near the Mokri site.

한국어

조선시대 목리유적 회격묘의 재료학적 특성과 물성을 분석하여 석회의 제조기법 및 회격의 제작과정과 원료산지를 검토하였다. 회격의 건조밀도는 1호 회격묘 남벽이 1.82 g/cm3로 가장 높고, 공극률은 25.20%로 최저값을 보였다. 건조밀도와 공극률은 반비례 관계를 보이나, 일축압축강도는 2호 회격묘에서 182.36 kg/cm2로 최대강도를 보였으며 공극률 및 밀도와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회격의 석회혼합물은 주로 황갈색 기질에 200~600 μm의 석영, 장석 및 운모류와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회격에서는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포틀란다이트가 검출되나 토양에서는 고령석이 동정되었다. 회격의 모든 석회는 600~800℃에서 탄산칼슘의 탈탄산반응에 기인한 대대적인 중량감소와 다양한 흡열피크가 나타났다. 회격의 산출상태와 광물조성 및 열분석 결과로 보아 석회의 조성온도는 800℃ 내외로 추정된다. 회격묘는 삼물(석회, 세사, 황토)의 혼합조성으로 인해 넓은 주성분원소 범위를 보이며 작열감량 또한 22.5~33.6 wt.%로 나타났다. 회격의 석회와 골재의 함량이 불균질하고 부분적으로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기술수준은 다소 낮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목리유적 일대에서는 석회의 원료인 석회암질암의 분포가 여러 곳에서 확인되며 상업적으로 석회를 생산한 예산 및 홍성지역의 석회석 광산과 근거리에 있다. 석회 원료는 목리유적 인근의 산지에서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지형 및 지질분포
  2.2. 회격묘의 특징
  2.3. 시료선택
  2.4. 연구방법
 3. 결과 및 해석
  3.1. 물리적 특성
  3.2. 재료학적 특성
  3.3. 지구화학적 특성
 4. 보존과학적 고찰
  4.1. 재료과학적 검토
  4.2. 석회의 제조과정
  4.3. 회격의 제작과정
  4.4. 석회의 산지 해석
 5. 결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찬희 Chan Hee Lee.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지현 Ji Hyun Cho. 서울역사박물관 보존과학과
  • 김지영 Jiyoung Kim.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