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송윤정, 조규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e study, 346 university students in kimhae w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from Oct. 26th 2015 to Nov. 6th, the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 According to the procedures Baron and Kenny suggested in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employ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major satisfaction exert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cercis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interactive role o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urce of motivation to successfully adapt school lif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매개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김해시 소재 2개의 대학교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전공을 선택하는 동기의 소재가 중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내재적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2.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에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3.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윤정 Yun Jeong Song. 동아대학교 시간강사
  • 조규판 Gyu Pan Cho.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