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으로 살아가기 : 동포모니터링단 <강강숲래> 활동 및 단원 인터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Living as “Chosun-Joks” in Korea : Focusing on the Activities and Interviews of Members of the Media Monitoring Group

신정아, 한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its establishment on November, 2015, the Media Monitoring Group for Korean Chinese has monitored TV programs and articles of newspapers. Moreover, it has discussed Chosun-Joks' representation or ways of reporting on media. This study examines ways in which Chosun-joks have changed their identities through the monitoring activitie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members of the monitoring group. Furthermore, we compiled monitoring diaries, group conversations in social networking sites with chat rooms, and writings of Korean Chinese newspapers. Charmaz's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texts. The results reveled that the monitoring activities of Korean Chinese have contributed to their lives in Korea, thereby helping them construct their subjective identities. Thus, media literacy education such as the monitoring activities of Korean Chinese is needed in Korea, as existing advanced studies have asserted.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족 미디어 모니터링단인 <강강숲래>에 참여하는 조선족 단원들의 인터뷰 자료와 관련 담론을 분석하여 조선족으로 살아가는 경험과 미디어교육으로 인한 정체성 변화를 논하고자 했다. <강강숲래>는 미디어 교육과 모니터링 실습을 통해 한국 미디어들의 조선족 재현에 심각성을 인식한 조선족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기구이다. 한국의 미디어 전문가와 시민단체인 동북아평화연대가 모니터링단의 구성과 발족을 지 원했고, 현재 자문위원과 후원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5년 11월에 발족된 이후, 조 선족이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보도, 재현 문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 구는 단원 심층인터뷰, 모니터링단 브로셔, 활동일지, SNS 단체 채팅방 대화 내용, 동 포신문의 단원 글을 텍스트로 하여 차마즈(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조선족은 일상 대화, 정책, 제도, 미디어 등 한 국사회 전반에 스며있는 ‘조선족포비아’에 의해 조선족임을 밝히지 못하는 정체성 혼동 을 겪게 된다. 중국동포 미디어 모니터링단 활동에 대한 귀납적 연구를 통해 중국동포 의 미디어 모니터링 활동은 한국사회에서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동포모니터링단의 활동은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인 이주민들 이 건강하게 뿌리내리기 위해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 을 뒷받침해 주었다.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기존 문헌 검토 및 이론적 논의
  1) 한국사회와 ‘조선족’ 정체성 담론
  2) 이데올로기의 효과: 정체성 수행
  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 연구방법 및 연구 분석
  1) 분석방법 : 구성주의 근거이론
  2) 텍스트 분석
 4. 분석 결과
  1) 조선족의 과거와 현재
  2) 미디어 비판적으로 읽기
  3) 조선족 정체성 되짚기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신정아 Jung-Ah Shin.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겸임교수
  • 한희정 Hee Jeong Han.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