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원문정보

Identifying the Employees’ Perceived Performance of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It

임정연, 이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variables, using 5th Human Capital and Corporates' Panel (HCCP) data. We examined 435 corporations and 2875 employees and applied Hierarchical Linear Model in terms of individual level and corporate's level. We used SPSS 21.0 and HLM 7.0 software packages. Individual level variables were the gender, marriage status, academic degree level, employment types, the types of job, employment period, working hours, wage, job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 etc. Corporation variables were the corporate sector, size of corporations, the existence of human resource department, and HR policies of corpor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factors that improved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were impacted by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s well as corporations level variables. Second, when we only input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highly degree level, job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y intrinsic motivation showed positive impacts on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Third, the corporate sector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had positive impacts on Job performance.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ccurred and impacted the off job education and training’s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집체교육훈련에 참여한 435개 기업 2,875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개인수준(1수준)과 기업수준(2수준)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인수준의 변인은 성별, 결혼여부, 학력, 정규직 여부, 근무기간, 근로시간, 평균월급, 직무만족도 및 교육훈련 참여 동기를 적용하였으며, 기업수준의 변인으로는 업종, 규모, HR 전담 조직 여부, 1인당 매출액(log), 각종 HR 지원정책 및 인건비 대비 교육훈련 직접경비(log)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1수준)의 변인을 투입한 결과, 학력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내적 동기에 의한 훈련참여가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의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업종과 HR 지원정책(교육훈련 유급시간 인정, 인건비 대비 교육훈련 직접비용) 역시 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수준의 변인은 기업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과 인력관리 정책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기업 교육훈련의 특징과 현황
  2. 기업 교육훈련의 성과와 성과 인식
 III. 연구방법
  1. 분석자료
  2. 연구대상
  3.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기초모형 분석
  2. 연구모형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정연 Jungyon Lim. 숙명여자대학교 인력개발정책학 박사과정
  • 이영민 Youngmin Lee. 숙명여자대학교 여성HRD대학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