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적소구 강도(强度),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Third Person Effects on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 Focused on Intensity of Sex appe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김봉철, 김유미, 안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ird-person effect is usually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media message. The current research is about that (1) the third-person effec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2)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of advertisements and social distance, and (3) The impact of third-person effect on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Experiment of 464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o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the third-person effect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Second,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last,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have different accord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research conclude that people who think I have not impact on sex appeal advertisements is more likely to support sex appeal advertisements restriction if sex appeal have negative effect on others.

한국어

본 연구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 만일 나타난다면 성적소구의 강도에 따라 제3자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3자효과가 성적소구 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적소구 광고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적소구의 강도(약, 중, 강)에 따른 제3자 효과는 세 개의 강도 모두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났고, 성적소구 약보다 성적소구 중과 성적소구 강에서 제3자 효과가 더크게 나타났으나, 성적소구 중과 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소구에 대한 제3자 효과는 나와 가까운 사람인 가족 및 친구보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인일반인에게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적소구 광고의 제3자 효과는 성적소구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규제인식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람들은 비록자신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인식하면, 그 문제를 제한 또는 제재하는 조치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성적소구와 광고효과
  성적소구의 강도와 제3자 효과
  사회적 거리와 제3자 효과
  제3자 효과와 광고규제 인식
 연구방법
  실험절차
  변인의 측정
 연구결과
  피험자의 인구통계적 속성
  <연구가설 1>의 검증결과
  <연구가설 2>의 검증결과
  <연구가설 3>의 검증결과
  <연구가설 4>의 검증결과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봉철 Kim, Bong-Chul.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김유미 Kim, Yu-mi.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빙 객원교수
  • 안주아 Ahn, Jooah. 동신대학교 방송연예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