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정치학

원문정보

Politics of Universities Reorganization Evaluation Policy

반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litical factors of university restructuring evaluation applied to the Melstner’s political analysis model, to discuss the major issues of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itiated by government, and to suggest the mid- to long-term policy agenda on university restructur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university restructuring have several problems on the direction, the pursuing strateg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it. This study suggested the new paradigm for the university development and also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이 연구는 Meltsner의 정치분석모형을 통해 표준화된 정책분석의 질적인 분석 틀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구조개혁의 정치적 특성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책관여자 변수에서 대학구조개혁은 정부와 여당 중심의 정책관여자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고, 둘째, 동기 변수에서는 이 정책이 당초 대선과정이나 현 정부 출범 초기에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던 의제가 현재 법적 근거도 없이 강력히 추진된 이유가 모호하다는 점이 쟁점으로 제기되었다. 셋째, 신념 변수에서는 대학구조개혁 정책이 신자유주의에 기초하고 있지만, 현실은 관료제 강화로 이어지고 있어 신자유주의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 상황이었음을 제기하였다. 넷째, 자원 변수에서는 대학구조개혁 정책의 추진 방식이 정부 주도이고 자원 축소 혹은 제거 중심의 부정적 접근이기 때문에, 대학이 평가에 대한 순응성이 강화되었음을 제기하였다. 다섯째, 장소 변수에서는 정책에 대한 대학구성원들의 수용성과는 반대로 정책결정구조의 경직성 문제가 크게 부각된 점을 쟁점으로 제기하였다. 여섯째, 교환 변수에서는 이번 대학구조개혁 정책이 재정지원과 연계되지도 않았고, 법적 근거도 없이 추진된 정책이라는 한계를 분명히 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학령인구 감소에 의해 대학구조개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지만, 지금과 같은 개혁 방식은 대학의 서열구조를 고착화시킬 가능성이 있고, 학령인구 감소 문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시장 생산성 약화 및 소비위축 등 경제발전의 동력 상실이라는 경제적 측면에서 커다란 도전적 과제이지, 교육투자 감축과 대학 퇴출 중심의 구조개혁이나 단순 규모 축소지향적 개혁 정책 추진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역할은 교육 관련 법률이나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정한 게임의 규칙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임을 간과해서는 않된다.

목차

<요약>
 I. 들어가는 말
 II. Meltsner의 정치분석(Political Analysis) 모형을 통한 분석 틀
  1. 정치분석 모형의 주요 내용
  2. 대학구조개혁의 정치적 특성과 쟁점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
 III.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주요 내용과 현황
  1.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특징
  2.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내용과 방법
  3. 대학구조개혁의 평가 결과 및 조치
  4.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결과 활용
 IV.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정치적 특성과 쟁점 분석
  1. 정책관여자(Actors)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2. 동기(Motivation)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3. 신념(Belief)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4. 자원(Resource)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5. 장소(Site)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6. 교환(Exchange) 변수에서 나타난 정치적 쟁점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반상진 Ban, Sang-Jin.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