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상체계로 본 한글 창제의 철학적 원리

원문정보

Philosophical principles of Hangul : Philogram

박상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hn Man, England's historian and documentary MC, explained in his book 《AlphaBeta》 which traces back the origin of Alphabet, as 'Hangul is the best language in the world that all languages strive for as an ideal." The Pearl Buck, the author of Good Earth, also praised Hangul as 'Hangul has the most simple word structure in the world, but it can surprisingly express any sound by combine the consonants and vowels.' The excellence of Hangul is the excellence of philosophical structure embedded in the principles of inventing Hangul. In iconography system interpretation, Hangul is the character system made of trichotomy world view. Hangul, in its Hunminjeongeum Haerye Edition Introduction which explained the principles of invention, described as 'Hangul is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heaven, earth and man. So the posterity cannot change in their discretion.'. Also, according to the Sejong chronicles, it is written as ‘the Korean alphabet was based on the classic letters, so it is not brand-new letter. The principles of pronunciation was newly invented, but the letters were emulated from the format of ancient classic letters'. Hangul made the 3 basic letters to consonant and vowel each, and expanded the characters by transforming these basic letters. The consonant was modeled from the shape of circle, triangle and rectangle. The vowel was modeled from dot, line and stroke. Like this, there was no object that Hangul could not express, by using 3 principles of consonants and vowels. Hangul also applies trichotomy philosophy by dividing the letter into initial, medial, and final consonant phoneme. This is the uniqueness that only Hangul possesses. Trichotomy can be seen to apply the notion of 3 principles (三才), heaven, earth and men. If scrutinizing its shape, it directly applies the placement and the direction of these 3 principles into the shape of the words. The initial phoneme is a consonant, so it becomes the leader to draw out the shape and direction. Then the medial is the vowel, which becomes the body for the center of the change. Then, the last one is the final phoneme, which works as a motive for the next word to come out. Like this, Hangul contains its basic 3 principles in every word. From this special phonemic structure, when conceiving the word, the brain acknowledges in spatial matter. The ways to read and write in Hangul is the natural measure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nature. Hangul is the only writing system made a philosophical concept. Philosophical concepts created Hangul has included a unique reason for Koreans. So this assay dominate Hangul is "Philogram".

한국어

한글은 철학적 개념으로 만든 유일한 문자체계(文字體系)다. 한글을 만든 철학적 개념들에는 한국인의 고유한 사유가 포함돼 있다. 15세기 세종과 집현전 성리학자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은 한글창제에 그대로 반영됐다.『훈민정음(訓民正音)』에서 밝힌 한글 창제의 철학적 개념은 모두 3개다. 첫 번째는 삼재(三才)이고, 두 번째는 이기(二氣)며, 세 번째는 오행(五行)이다. 삼재는 천지인(天地人)을 뜻하고, 이기는 음과 양이니 자음과 모음을 뜻한다. 그리고 오행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로 대변되는 어금닛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이다. 한글 창제 원리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지속적으로 정리되어 왔으나 15세기 성리학의 우주관이 어떻게 한글에 적용됐는지 도상체계를 바탕으로 연구된 바는 없다. 이에 이 논문은 도상체계(Iconography system)를 바탕으로 한글 창제의 철학적 원리를 분석해 보려 한다. 한글을 삼재의 도상성, 이기의 도상성, 오행의 도상성에서 그 창제 원리를 참구해 보고자 한다. 문자를 창제하기 위해 사용한 철학적 개념들이 구체적인 도상(Icon)으로 어떻게 전환됐는지 그 과정을 짚어 봄으로써 한글의 미적 우수성과 공간 활용의 과학성을 다시 한 번 증명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논문은 한글을 표의문자(Ideogram)와 표음문자(Phonogram)를 모두 갖춘 철학문자(Philogram)이라 명명해 보고자 한다. 그렇게 명명하고자 하는 첫 번째 이유는 한글이 자질문자라는 지엽적 분류에서 철학문자라는 그 본질적 의미로 한글의 위치를 회복시키자 함이며 두 번째 이유는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본질적 목적을 더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고가 철학문자(Philogram)라는 새로운 명명을 통해 얻고자하는 것은 한글을 사랑하는 한국인은 물론 재외동포, 그리고 외국인들에게 한글을 더 깊게 이해하고 한민족 사유의 독창성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도상체계(圖像體係)로 본 한글 창제의 철학적 원리
  1. 삼재(三才)의 도상적 형태
  2. 이기(二氣)의 도상적 대립
  3. 오행(五行)의 도상적 확장
 Ⅲ.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상원 Park, Sang 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