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ussia’s Systemic Transition and Structure of Chinese Workers’ Advance into Russian Far East
초록
영어
This paper covers the correlation in variables between Russia’s Transition and Chinese workers’ migration into Russian Far East. Boris Yeltsin Government introduced the model of radical transition of political system, losing control over the region and experiencing the extreme confusion from the transition. Chinese workers advancing into Russian Far East had some degree of impact on the systemic transition of Russia. Russia was at a qualitative turning point in the policy of political system transition from 2000. The central government began to have an efficient influence on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society restored the stability and order. Over the period, Russian government started to intervene in Chinese workers’ advancing into Russian Far East and impose restriction on the activity of Chinese workers migrating to the region.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system transition and Chinese workers coming into Russian Far East. During the transition from confusion of transformation to qualitative transformation in regard to the method of solving the labor shortage required to develop the region of Far East, the influx and activities of Chinese workers were restricted. The focus was shifted to Russian central government from Chinese worker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nd workforce.
한국어
본 글은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중국노동자의 러시아 극동지역 유입관계 현상을 다룬다. 급진적 체제전환 모델을 도입한 옐친 정권은 지방정부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극심한 체제전환 혼란을 경험했다. 러시아 극동지역으로 과도하게 유입된 중국노동자들이 러시아의 체제전환 혼란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다. 푸틴이 집권하는 2000년부터 체제전환 정책은 질적 전환기를 맞이한다. 중앙정부의 영향력이 지방정부에 효율적으로 미치기 시작했고, 국가사회가 안정과 질서를 찾아갔다. 이러한 기간 동안 러시아 중앙정부가 중국노동자의 극동지역 유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고, 유입된 중국노동자들의 활동 공간에 제약을 가하기 시작했다. 체제전환 정책의 성격과 중국노동자의 러시아 극동지역 유입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한다. 체제전환 혼란기를 거쳐 질적 전환기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국노동자의 유입 및 활동이 제한되었다. 극동지역 개발과 노동력 관계에 있어서 중심축이 중국노동자에서 러시아 중앙정부로 옮겨졌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러시아의 체제전환 모델과 극동지역 개발정책
1. 러시아의 체제전환 모델
2. 체제전환 혼란 및 질적 전환기의 극동지역 개발정책
Ⅲ. 러시아 극동지역의 노동력 부족과 중국노동자 유입
1. 극동지역의 인구감소와 노동력 부족
2. 극동지역의 해외노동자 유입과 중국노동자
Ⅳ. 러시아 극동지역의 중국노동자 유입 및 활동구조
1. 중국노동자의 극동지역 유입 양태
2. 중국노동자의 활동 영역과 구조
Ⅴ. 끝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