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국제개발협력과 근대적 농촌개발의 기원

원문정보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Origin of Modern Rural Development

임형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interaction and effect among the RuralExtension, Community Development, Saemaul Undong in Korean modern ruraldevelopment. Rural Extension started in Renaissance period. Modern Rural Extensionstarted in Ireland in Great Famine. The term ‘Rural Extension’ was first used in the 1867in England. Rural Extension developed by Land-Grand College in USA. CommunityDevelopment developed by England for the purpose of colonial development. FordFoundation also developed Community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underdevelopedareas in USA. Community Development was adopted as rural development method in UN. R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spread around the world in the form of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UN and USA playedan important role in the rapid spread of R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Rural Extension w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ruraldevelopment. The main purpose of Community Development was community development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competence. Rural Extension started around thelate-Chosun Dynasty. Modern Rural Extension started in 1957. Community Developmentstarted in 1958. Community Development has been transferred from the ministry ofreconstruction to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in 1961. And Community Development hasbeen transferred again from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and integrated into Rural Extens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in 1962. Rural Extension has been going on ever since in RDA. Saemaul Undong was influencedby Rural Extension and Community. R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were naturalized in Saemaul Undong and bring about good results.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농촌개발에 영향을 미친 근대적 기원으로서, 농촌지도, 지역사회개발, 새마을운동의 유전적 계보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사실 지역사회개발과 농촌지도는 아주 익숙한 개념이다. 그럼에도 농촌지도, 지역사회개발 두 가지가 한국의 농촌개발에 미친 상호작용 및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한국은 새마을운동의 성공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새마을운동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전 세계적인 국제개발협력과 농촌개발의 흐름속에서 새마을운동을 이해하고, 다른 나라의 유사한 농촌개발운동과 비교하는 데는 익숙하지 못하다. 이 논문은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개발협력의 형태로 확산된, 농촌지도, 지역사회개발과 한국의 농촌개발의 근대적 기원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농촌지도는 르네상스 시기(14-16세기)에 기원하여, 1847-1852년 아일랜드 대기근 때 근대적 의미의 농촌지도가 발생하였다. 1867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농촌지도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도 18세기에 시작되었고, 19세기에 근대적 의미의 농촌지도로 자리잡았다. 지역사회개발은 영국이 아프리카 식민지 개발을 위하여 개발하였고, 1955년에 UN과 미국 국제협력처에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농촌지도와 지역사회개발은 제3세계로 전파되었다. 한국에서는 1958년 주한미국원조사절단의 건의에 따라 지역사회개발이 시작되었다. 한편 농촌지도는 대한제국에서 시작되었지만, 근대적인 농촌지도는 1957년에 시작되었다. 이후 1962년 농촌진흥청이 발족하면서, 지역사회개발은 농촌지도에 흡수되었고, 현재까지 농촌진흥청의 주요 기능으로 남아 있다. 지역사회개발의 실질적 공간 단위는 마을이었으며, 농촌지도사업의 주된 목적은 농업생산성 향상과 생활환경개선이었다. 한편 지역사회개발의 영향을 받은 재건국민운동(1961-1964년)은 실패하였으나, 재건국민운동은 내무부로 이관되었다. 그리고 1971년 내무부에서 새마을운동을 주관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근대적 농촌개발과 새마을운동은 농촌지도, 지역사회개발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즉 시기적으로 앞선 것도 아니며, 완전히 독창적인 한국만의 농촌개발운동도 아니다. 그러나 한국에 적합하게 토착화되었고, 국민들의 노력으로 가장 성공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농촌지도
  2.1. 유럽의 농촌지도
  2.2. 미국의 농촌지도
  2.3. 제3세계의 농촌지도
  2.4. 한국의 농촌지도
 3. 지역사회개발
  3.1. 영국의 지역사회개발
  3.2. 미국의 지역사회개발
  3.3. 제3세계의 지역사회개발
  3.4. 한국의 지역사회개발
 4. 새마을운동
  4.1. 농촌지도 및 지역사회개발로부터의 영향
  4.2. 새마을운동의 성격
 5.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형백 Lim, Hyung Baek. 성결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