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asks of Practical Theology on Church Bylaw in Korea Church
초록
영어
Because korea churches there is no historical experience for equivalent to the nation, resolutions of church disputes has been largely dependent on the court of nation. So today amendment and legislation movement of church bylaw in korea church have been progress only on the basis of a positive law and precedents. Even within the church itself, it been has been carried out only in the dimension of democratization or prevention of church conflict. Therefore I am presented practical theological tasks about the legal meaning and implications of law-theology for discourses on church bylaw of what currently is happening in korea church. I understand that the legal meaning of the church bylaw is the situation that civil law has penetrated through articles of association into the church. And I was confirmed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law-theology that we must mutual respect for civil code and church law because ‘the Justice of God’ appear through positive law and Judicial judgments. I proposed that descriptive empirical tasks of church bylaw are emerging cause of discourses on church bylaw, assignment of religious law academics and descriptive on experience in the field of pastoral ministry. Interpretive tasks of church bylaw are church disputes and church bylaw-centered approach to adjudicating, privat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church power, theological selectivity of church polity, opacity of church finances and penetration of antagonists and heretic, etc. The law-theological normative tasks of church bylaw are what it happens ensuring the legitimacy of theology and law theology, civil law and church law. Finally, the practical challenges on the church bylaw are the establishment of ‘the Perfect Law’ and the legal leadership, prevention of judicial activitism or judicialization of justice,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practice of church bylaw and the development task of church law and church bylaw, etc.
한국어
한국교회는 국가에 대해 대등한 역사적 경험이 없기 때문에 교회의 분쟁 해결이 국가에 많이 의존되어 있 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교회의 정관 개정 및 제 정 운동은 국가의 실정법과 판례에 근거하여서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교회 자 체 내에서도 교회 운영의 민주화 내지 분쟁 예방의 차원에서만 진행되어 왔다. 이에 필자는 현재 한국교회에 일어나고 있는 교회정관 담론에 대해 법적 의미 와 법신학적 의미를 밝히고 실천신학적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교회정관의 법적 의미는 국가법이 정관을 통하여 교회에 침투해 들어온 상 황으로 이해했으며, 그 법신학적 의미는‘하나님의 정의’가 실정법과 재판을 통해 나타남으로 상호 관점을 존중해야 함과 동시에 국가법도 교회법을 존중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교회정관의 서술적 경험적 과제는 정관 담론의 대두 원 인, 종교법학계의 학술적 과제, 교회 목회 현장 경험의 서술적 과제 등이다. 교 회정관의 해석적 과제는 교회의 분쟁과 법원의 정관 중심 판결, 교권의 집중화 과 민주화, 교회정치신학의 선택성, 교회재정의 불투명, 목회대적자들과 이단 들의 침투 등에 대한 해석적 과제이다. 교회정관의 법신학적 규범적 과제는 교 회정관이 신학과 법신학 그리고 국가법과 교회법적으로서 정당성을 어떻게 확 보되느냐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정관에 대한 실천적 과제는‘완전한 법’의 제 정과‘지혜 있는 자’의 법적 리더십의 육성, 교회에 대한 국가의 사법화 방지 의 과제, 교회정관의 정치 행정적 실천 과제 그리고 교회법과 정관의 발전 과제 등이다.
목차
II. 펴는 글
1. 교회정관의 개념과 법적 의미
2. 교회정관에 대한 실정법적 경험
3. 교회정관 문제의 원인
4. 교회정관의 법신학적 과제
5. 교회정관에 대한 실천적 과제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