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인공관절치환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에 따른 융복합적 영향

원문정보

The Convergent Influence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Arthroplasty

김영희, 권영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artificial joint replacement surgery for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delirium surgery. Data of study were analysed using the sample through the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after surgery to provide basic data. The subjects were elderly aged 60 years or more and the number of the sample was 821.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 20.0 with t-test, χ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The study results showed patients with artificial joint replacement surgery incidence of delirium was 13.5%, findings of these variables insisted that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delirium were caused by age, fall history, physical activity, emotional status, body mass index (BMI) before surger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bove findings are required for early intervention,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liriu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섬망의 발생예방과 조기중재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전자 의무기록자료중 60세 이상 환자 8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상 자 서술통계와 섬망발생율의 차이는 χ2-test와 t-test를 시행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stic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공관절치환수술 환자에게 섬망 발생률은 13.5%였고, 섬망 발생의 영향요인에서는 연령, 낙상력, 신체활동, 정서상태, 수술전 체질량지수가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섬망의 예 방, 조기발견을 위해 조기중재가 필요한 방안 모색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섬망발생유무에 따른 대상의 일반적 특성, 질병 및 수술 관련 특성의 차이
  3.3 섬망 발생 영향 요인
 4. 논의 및 고찰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희 Young-Hee Kim.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 권영채 Young-Chae Kwon.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