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고령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 Aging Society

고영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ging is one of the major tasks that our country should resolve. To deal with aging problems,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new concepts such as active aging, productive aging, and successful aging, well aging and anti-aging. This study suggests a new concept, digital aging, to tackle aging problems, and we use this concept to explore the new policy and policy areas for aged people. Since this concept is not well defined yet, this article focuses reviewing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Instead of focusing the negative aspect of ag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use the digital technology to build such images that the old man can be continuously learning, active and productive.

한국어

고령화는 우리나라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국가적 과제이다. 세계 각국은 고령화에 대응하여 활동적 노화, 생산적 노화, 성공적 노화, 웰 에이징(Well Aging), 항노화 등 새로운 개념을 통해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이 논문은 고령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디지털 에이징(Digital Aging)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서 이에 근거 한 새로운 고령화정책의 방향과 정책영역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 에이징은 아직 학술적으로 정립되 지 않은 개념이기에 문헌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병약, 보호, 의존 등 노화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학습ㆍ활동ㆍ생산ㆍ참여하는 노인의 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도입할 것인지를 목표로 삼고서 노인들의 4가지 특징인 질병, 외로움, 사회적 역할 감소, 빈곤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디지털 정책을 탐색적으로 모색 했다. 이 연구는 고령화와 함께 대두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의 요체인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고령화의 대안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고령화 문제에 직접 적용하여 효과 성을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
 3. 디지털 에이징의 개념과 의의
  3.1. 디지털 에이징의 개념
  3.2 디지털 에이징 개념의 의의
 4. 디지털 에이징의 정책 제안
  4.1 디지털 에이징 정책의 구상 틀
  4.2 디지털 에이징의 정책방향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고영삼 Young-Sam Koh.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문화본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