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원문정보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박지선, 유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onvergence factor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examin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find a practical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is study targeted 13,771 seniors from single households aged 65 and over, who were subject to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4. Social capitals, stres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EQ-5D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model fit was good value with CFI=.906, GFI=.955, RMSEA=.074.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or maintaining health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need to increase social capitals by providing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grounds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한국어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사회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등 융 복합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1인 가구의 13,771명이다. 분석자료는 사회자본,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EQ-5D이고,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CFI=.906, GFI=.955, RMSEA=.074로 양호한 수 치였다. 변수 간 관련성은 독거노인의 사회자본은 스트레스 감소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확대 및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 마련 등 사회자본 증대를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측정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측정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결과
  3.3 측정척도 간 상관관계
  3.4 연구모형 분석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지선 Ji-Sun Park. 우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유영주 Young-Ju Yu. 한국문화복지실천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