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군대 내의 여가활동 종류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집단응집력의 차이

원문정보

The Differences of Self-Determination and Group-Cohesion depending on Leisure Activity Types in Military

김민종, 송경재, 이종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of researches regarding leisure activity have been related to the individual aspect on leisure activity. However, the collective aspect is more important in the military because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the military, which is to win the war. In addition, the military has to protect the country and the people, so the military has to try to improve the collective ability. Thus we think a new leisure concept is needed to correspond to the purpose which the military has been existing f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The core hypothesis on this study is that the collective leisure activities are mo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llective scale(group-cohesion) than the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And this study is examining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ccording to each leisure activity, and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group-cohesion. The result supports the core hypothesis and the collective leisure activities are mo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elf-determination than the individual leisure activities, meaning that th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dosen’t have any effect on the group-cohesion.

한국어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군의 변화
2. 여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방법과 연구문제
Ⅳ. 연구 결과
1. 집단-개인 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 따른 집단응집력의 차이
2. 집단-개인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 따른 자기결정성의 차이
3. 집단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서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집단응집력에서의 차이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군의 변화
  2. 여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방법과 연구문제
 Ⅳ. 연구 결과
  1. 집단-개인 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 따른 집단응집력의 차이
  2. 집단-개인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 따른 자기결정성의 차이
  3. 집단차원에서의 여가활동에서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집단응집력에서의 차이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종 Kim Min Jong. 육군3사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송경재 Song Kyung Jae. 육군3사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이종형 Lee Jong Hyung. 육군3사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순화, 1994, “집단상담에서의 집단응집력과 상담회기평가에 관한 일 연구: 상담자교육을 위한 마라톤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 30: 111-154.
  • 2The Effect on the Group Cohesion According to the Each Different Group Sizes네이버 원문 이동
  • 3국방부, 2006, 『병영문화개선 모범사례 제1호』, 서울: 국방부.
  • 4The Effects of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of Youth`s in Group Cohesion and Sociality네이버 원문 이동
  • 5김정은, 2013, “병사의 군생활 적응 위한 스트레스 대처모델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지』 6(2): 5-38.
  • 6김정운․이장주, 2005,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지』 19(2): 1-15.
  • 7김정운․이장주․손영미․허태균, 2005, “한국-독일 대학생의 여가생활 비교연구: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심리학회지』 10(3): 429-446.
  • 8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f Adults Using a Driving Range네이버 원문 이동
  • 9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Military Service Absorption among Army Soldier네이버 원문 이동
  • 10박경일․김연이, 2008, “군장병의 생활문제와 군사회복지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지』 1(1): 1-28.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