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3ㆍ11 대지진 이후 일본 연극 속의 비일상성 연구 - <물우리>와 <지진 택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f non-dailiness in Japanese plays after the 3ㆍ11 Great Earthquake

이혜정, 이홍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on-daily expressions exhibited in Japanese plays since the 3ㆍ11 Great Earthquake. Renowned directors of so-called ‘silent plays’ which has become the mainstream in Japanese little theaters since 1990’s have stressed everydayness by employing hyper-realistic methods such as no changes of scenes on stages or actors acting with their backs to the audience. This trend was also reflective of depressed Japanese societies after the economic collapse in the 80’s. The trend had intensified in 2000’s, and lethargic characters worn out by pathetic routine life were brought up on to the stages. This type of performance was called “Datsuryoku-kei(tension-removing)” as it is known to sap energy out of the audience. In any case, however, the 3ㆍ11 Great Earthquake was an important event which triggered a change in the then-prevailing trend of hyper-realismin the world of Japanese theaters. One of the most monumental plays post Great Earthquake era was Cage of water, originally commissioned by Germany’s public theater and produced by Tanino Kuro. In this play, a middle-aged German actor impersonated an old and paranoid Japanese man who suffered from a delusional disorder. This work portrayed Japan in disaster through just one man whose soul is stuffed with the general public’s overwhelming uneasiness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earthquake and nuclear plant incident as well as prejudice against Japan and orientalism. The play ended with a scene where the actor shed his makeup and returned to his own body of a middle-aged white man and overturned all of the previous scenes expressed throughout the play. Another piece of work that has come into the spotlight was Earthquake disaster taxi from the Tohoku region where it has been hit the hardest during the earthquake. The play’s plot was about total strangers being crammed into one taxi after all the means of the transportation has been paralyzed due to the earthquake. One interesting point about this play is that its plot mixed a seemingly everyday event where some strangers get to share a taxi with a fantasy where fictional characters from old novels appear in the eyes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play. Shreds of small fantasies have been inserted between a realistic everyday object – taxi – and unusual and unrealistic event – Great Earthquake. The fictional characters from the novels appeared on the stage all of a sudden and then just as suddenly turned into unknown pedestrians. This extraordinary plot was implemented as a device to convince the audience of the unusual experience and sensation of the repetitive cycle of daily and non-daily events. The Great Eastern Japan Earthquake on March 11, 2011 was an unprecedented event as the earthquake caused the meltdown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s. The Japanese performing arts community, which had been forced to be shut down after the earthquake, had to provide in action an answer to the very important following question, “why must the theaters be open?” Performance shows on tour were then organized, and plays that depicted the uncomfortable truths about the Japanese society, the secrets which only surfaced after the incident, had attracted the audience’s attention. In order to face the reality of disasters and to proceed with recording of the truths, the performing arts community must develop contents with which the audience could also sympathize. And therefore it would be worthwhile to closely monitor a crucial movement that Is being set in motion in the Japanese performing arts community.

한국어

본 논문은 3ㆍ11대지진 이후 일본 연극에 나타나는 비일상성을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1990년대부터 일본 소극장 연극의 주류로 떠오른 소위 ‘조용한 연극’의 대표 연출가들은 장면을 전환하지 않거나 객석에 등을 지고 연기하는 등 극사실적인 방법으로 일상성을 강조해왔다. 80년대의 버블경제 붕괴 이후 침체한 일본 사회를 반영하기도 했던 이러한 흐름은 2000년대가 되면서 더욱 심화되어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힘이 빠지게 만든다는 의미로 ‘탈진계’라고 명명될 정도로 나른하고 무기력과 반복에 찌든 신체를 무대에 올렸다. 그러나 3ㆍ11 대지진은 그러한 현대 일본 연극의 흐름에 변화를 야기한 사건이었다. 특히 독일의 공립 극장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제작된 다니노 구로의 <물우리>는 독일의 중년 남자 배우에게 일본의 노인 분장을 시켜, 편집증적인 망상 장애를 연기하도록 했다. 대지진과 원전 사고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과 오해, 여기에 일본에 대한 편견과 오리엔탈리즘까지 곁들여 재난 속의 일본을 단 한 명의 몸에 집약시켜 그로테스크한 행동으로 표현한 작품이었다. 연극의 마지막에는 그가 다시 분장을 지우고 독일 국적의 백인 중년 남자의 몸으로 되돌아와 공연 내내 표현했던 모든 것을 전복시키는 장면을 연출했다. 한편, 대지진의 가장 큰 피해 지역인 도호쿠 지역에서 만들어 낸 <지진 택시>도 큰 주목을 받았다. 대지진 직후 모든 교통수단이 마비된 도호쿠에서 서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택시에 몸을 구겨 넣는다는 설정이다. 이 연극의 특징은 어느 연출가가 모르는 사람과 함께 택시를 타고 가는, 마치 실제 있었던 일을 보여 주는 것 같으면서도 그 주인공의 눈에 옛날 소설 속 인물이 등장한다는 작은 판타지를 삽입했다는 것이다. 택시라는 일상적인 소재와 대지진이라는 비일상적인 소재의 틈에 이와 같은 작은 환영을 넣은 것으로, 허구의 인물은 판타지로 등장했다가 곧바로 길가에 있는 사람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이는 일상과 비일상의 전복, 그리고 그 체험의 감각을 설득시키기 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동반하였다는 점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사고가 되었고, 그 직후 극장의 문을 닫아야 했던 일본의 공연예술계는 ‘왜 극장이 문을 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의 답을 행동으로 보여 주어야만 했다. 피난민들을 위한 순회공연이 기획되고, 사고로 인해 드러난 일본 사회의 면면들을 고발하는 작품들이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재해와 재난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기록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객으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일본 연극에 일어나고 있는 거대한 움직임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목차

I. 서론
 II. 3ㆍ11 대지진 이후 무대 속 일상의 변화
 III. 비일상의 일상화
 IV. 결론
 참고문헌
 인터넷 참고자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정 LEE, Hye-Jeong.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학과 조교수
  • 이홍이 LEE, Hong-Yie. 일본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비교사회문화학 전공 박사 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