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생활권 수련시설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outh Facilities in Seoul

이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cent changes in the policies regarding the youth alter youth facilities to include new healing camps for the school violence victims and counseling programs for school dropouts as well as conventional career development or hobby programs. However, these changes are not enough to respond to the current social needs regarding the youth. In additions, general residents start to request to use the youth facilities. In this research, we examine and analyze the status, layouts, space composition and various programs of the youth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developing desirable architectural plans of the youth facilities. In this research we observed the followings. First, they start to separate the past intermingled lines of flows for cars and pedestrians. This is because they recently build more underground parking spaces in the facilities than before and they beco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and accessibility of the pedestrians. Second, the main lobbies of the facilities are mainly used for passages, not for information centers neither social spaces. This is because they failed to consider the various usages of the space. Third, in the newly opened facilities, we find more spaces for the education and culture, and less for the sports. This is because they begin to provide new programs for the school violence victims and the school dropouts.

한국어

최근 청소년 관련 정책이 변화하면서 생활권 수련시설은 진로프로그램, 취미 프로그램 외에 학교폭력과 관련된 힐링 캠프, 학업중단과 관련된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청소년의 요구변화 및 사회적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지역주민의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 요구도 중요한 변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시설현황 및 배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의 특성 분석을 실시하여 바람직한 청소년수련시설의 계획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권 수련시설의 배치계획에서 보행자와 차량 동선이 혼재되던 계획에서 분리되는 계획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최근 공급되는 시설에서 지하주차장이 제공되거나 보행 접근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현재 주출입 로비 공간은 안내 및 커뮤니티 형성의 장소가 아니라 이동 및 관리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를 고려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셋째, 최근 개관된 수련시설에서는 교육 및 문화부문이 증가되고 체육부문이 감소되고 있다. 이는 학교폭력 및 학업중단과 관련된 새로운 프로그램 요구에 따른 변화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조사대상별 시설 및 배치 현황
  1. 조사대상별 시설 현황
  2. 조사대상별 배치현황
 Ⅲ. 배치 및 공간구성 특성
  1. 배치 특성
  2. 출입공간의 특성
  3. 프로그램 별 수직 구성의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현희 Lee, Hyun-Hee. 가천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