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 꽃봉오리를 매개체로 한 금속공예 작품 중심으로 -

원문정보

lighting design by utilizing the geometric pattern - The bud as mediator From Jewelry and Metalsmiths Perspective -

박세희, 안순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Permanence of life is the course that repeats creation and extinction of all living creatures. This study used flower buds as a medium in order to visualize a series of the course. Flower buds were interpreted to me as a symbolic meaning that implies new birth and hope, and a cycle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duce lighting apparatus with full organic vitality in order to express permanence of life by pattern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geometry. In addition, it aimed to introduce visual rhythm and psychological emotion with geometric patterns shown by light and shade of lighting and purify the inside of appreciators by aesthetic sensibility and fantastic ideal space of patterns shown by shade. Flower buds used as a medium of the research work express full vitality and time flow, and the geometric patterns in the work imply permanence of life through infinite revolving continuity and organic movements. This study intended to prepare for a chance to play a role in natural therapy by providing utopia induced by me in daily life of endless competition as well as complicate life of the moderns. Methods As for the method of lighting production, the dot, line and side of geometric formative elements were used to express the full vitality and natural circulation, and produced patterns that embody creation and extinction. It also attempted to make light overlapped by arranging and patterning geometric elements repetitively and producing the distances or light of lightings diversely. Furthermore, it was produced as a structure of joint lamps to make shapes and the directions of light free, and have appreciators simultaneously feel pleasure and aesthetic impression from the overlapped effect of illuminated shade and finally it can raise visual interest.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lighting design utilizing geometric pattern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diverse effects by brightness of light and shade by light, overlap of lighting colors, and free location changes of lighting. As light is produced differently according to distance and shape, it induces visual illusion from shown shade. Result The patterns and decoration shown in this research work intend to improve the value of the work including significance more than decoration as functional effects. As the role of aesthetic art and lighting giving aesthetic impression, it offers tension, interest and new visual pleasure from functional combination. Point of formation properties of the study free production pattern, is that it is constituted by the form of units of the geometry of the lines and the surface is repeated a shaped element to form a converging afferent space. In order to feel the pattern of and saengmyeonggam rhythm, and overlay at the same time, it gives a psychological sense of security due to the effect of the repeti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two-dimensional static images have full vitality and embody works of organic shapes as dynamic images due to various shade effects. Lastly,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a way that images in works and appreciators exchange interaction with a common denominator of freedom and commune with each other.

한국어

연구배경 생명의 영속성이라 함은 살아있는 모든 생물체의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시각화하기 위하여 꽃봉오리를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에게 있어 꽃봉오리는 새로운 탄생과 희망 그리고 생명의 순환 과정을 함축한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했다. 이러한 꽃봉오리가 지닌 생명의 영속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꽃봉오리의 형태를 기하학의 조형적 요소와 결합하여 패턴화 하고, 그 패턴들은 반복과 중첩을 통해 조명의 빛과 그림자로 새로운 패턴을 형성시켜 시각적 리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조명 속 그림자로 표현된 패턴이 심미감과 환상적 이상 공간으로 감상자들로 하여금 심리적 감동을 주어 내면을 정화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자가 조명기구로 의도하고자 하는 것은 현대인들의 복잡한 삶과 끝없는 경쟁의 일상 속에서 연구자가 유도하는 유토피아를 제공함으로 인해 자연치유적 역할을 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조명제작의 방법으로는 꽃봉오리의 생명력과 자연의 영속성을 표현하기 위해 기하학의 조형요소인 점, 선, 면을 이용하여 생성과 소멸을 형상화한 패턴을 제작하였다. 기하학 요소들을 반복적으로 나열하여 패턴화 하고 전구의 거리나 조명 빛을 다양하게 연출하면서 빛이 중첩이 되도록 의도하였다. 또한 관절 조명의 구조로 제작하여 형태와 빛의 방향이 자유롭게 움직임 일 수 있도록 하고, 비춰진 그림자의 중첩 효과로 감상자들에게 유희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느끼도록 하여 시각적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조명의 역할에 있어 빛에 의한 명암의 밝기, 조명색의 중첩, 마지막으로 조명의 자유로운 위치변화 등으로 그림자의 다양한 효과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거리와 형태에 따라 빛이 다양하게 연출되면서 보여 지는 그림자로 하여금 시각적 환영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작품 속에 나타난 패턴은 장식과 기능적 효과로서 장식 그 이상의 의미를 포함해 작품의 가치를 높여주고자 하였고, 반복적 패턴의 중첩과 기능을 갖춘 조명의 융합으로 흥미로움과 새로운 시각적 유희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자가 제작한 패턴의 조형적 특성으로 점, 선, 면의 기하학의 단위 형태로 조형요소들을 자유롭게 반복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렴적 구심 공간을 형성한다. 패턴의 중첩은 리듬감과 동시에 생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반복의 효과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2차원의 정적인 이미지가 다양한 그림자 효과로 인해 동적인 이미지로서 생명력을 가지고 유기적인 형태로 작품을 구현하는 것이다. 끝으로 작품 속 심상과 감상자가 자유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교감할 수 있도록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2. 이론적 배경
  2.1. 기하학의 일반적 고찰
  2.2. 기하학 패턴의 조형성
  2.3. 기하학 패턴을 이용한 작가
 3. 패턴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조명디자인
  3.1. 디자인 제작의도 및 방법
  3.2. 디자인 도안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세희 Se-hee Park.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조형학과
  • 안순주 soon-joo Ahn.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조형학과 금속공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