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문화 콘텐츠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그래픽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bile Game Graphic us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홍창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With creative economy and cultural enrichment as the conversation topic, culture tourism infrastructure and experimental contents are in the limelight. These days content type experience is developing fast through growth of IT, 3D, VR media. The government also promotes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a growth industry for the next generation. Global culture advanced countries apply their cultural heritages to digital contents industry. This is because they build foundation of enjoying their traditional culture for their people and give cultural pride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and vmobile games, which is developed by Finnish game company ‘Supercell’ based on cultural contents of northern europe became a trend around the world. Japan and China become culture advanced countries in the world through encourage their cultural contents industry using their history, cultural assets and life style. Methods Find out traditional cultural assets, features and materials for folk paintings, then apprehend about motif of objects which are apply to the mobile game graphics. Organize development elements which are characters, environments, UI design based on graphic classified table that are suggested by game developers and planners of three representative game companies - C company, N company, K company - of Korea. Through this process, study on mobile game graphic method using traditional cultural assets and techniques of folk paintings Result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 method for game production through extract applicable object to mobile game which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assets. Conclusion I hope game companies prefer mobile game graphics us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based on game graphic design as a production item in a stage of game development which has proposed in this study. Furthermore, I wish increase in number of creative mobile game graphic developments based on traditional cultural assets.

한국어

연구배경 창조경제와 문화 융성을 화두로 문화 관광 인프라와 체험형 콘텐츠가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IT, 3D, VR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체감형 콘텐츠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도 이에 보조를 맞추어 차세대 성장산업의 주축으로 문화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세계적인 문화 선진국들은 자국의 전통문화 자산을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자국민에게 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주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문화적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마트폰의 적극적인 보급과 모바일 게임 활성화로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이 된 클래시 오브 클랜(Clash Of Clans; COC)은 핀란드 기업인 슈퍼셀(Supercell)이 북부 유럽의 공통된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이다. 이웃인 일본과 중국도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에 있어 자국의 역사, 문화재, 생활상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세계 속에서 문화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구방법 전통문화자원 및 민화의 소재,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모바일 게임 그래픽에 응용할 수 있는 오브제 모티브에 대해 파악한다. 현재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국내 대표 게임 3사(C사, N사, H사)의 게임 개발자, 게임 기획자들이 제시한 그래픽 분류표를 바탕으로 캐릭터, 배경, UI디자인 개발 요소를 정리한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자원 및 민화기법이 적용된 모바일 게임 그래픽 디자인 방안을 연구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 자산을 토대로 모바일 게임에 반영할 수 있는 오브제를 추출하여 모바일 게임 그래픽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제시된 게임 그래픽 디자인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요소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그래픽이 모바일 게임 개발 기획 단계에서 제작 아이템으로 선호되기를 바라며, 전통문화자산을 모티브로 한 독창적인 모바일 게임 그래픽 개발 사례가 많아지길 바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전통문화자원과 민화
  2.1. 전통문화자원 분류
  2.2 전통문화자원 민화의 소재
 3. 모바일 게임 그래픽 디자인
  3.1. 모바일 게임 그래픽 디자인 요소
  3.2. 문화자원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 그래픽 사례
 4. 전통문화자원의 디지털 콘텐츠화
  4.1. 전통문화자원을 응용한 그래픽 디자인 개발
   4.1.1. 전통문화 모바일 게임 캐릭터 디자인
   4.1.2. 전통문화 모바일 게임 배경 디자인
   4.1.3. 전통문화 모바일 게임 UI 디자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창기 Hong, Changkee.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