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휴 시설의 건물 유형에 따른 활용 방법 및 실내디자인 표현 특성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of Idle Spaces according to the Original Building-Function Types

김민백, 류호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Today’s society has already entered the de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beyo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With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have gradually lost their own functions. Consequently, such industrial facilities are not used and neglected and finally turning into idle space. Recently, however, there are active attempts made to utilize idle spaces. But,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were focused on cases of idle spaces led by public organizations. Thu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idle spaces carried by private enterprises. Method previous researches were investigated to categorize each type of facilities on the premise that special characteristics of Idle spaces can be defined by their original purposes and functions. Then extract utilization methods of idle faciliti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as well. Based on the result, 6 built projects were investigated as case study to empirically examine design characteristics. Result Idle spac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warehouse type, factory type and others by their original functions; design methods can be divided into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transformation/alteration; typical design characteristics are temporality, identity and heterogeneity.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out of all the design methods, restoration was relatively passive in the domestic case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ases were preservation and transformation/alteration. However, such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s identity, temporality and heterogeneity were evenly found in the cases. Conclusion When idle facilities with great historicity are utilized, it is necessary to put more weight on preservation value like cases in other countries, and widen the range of interest even in the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한국어

연구배경 현대사회는 이전의 산업화 시대에서 탈산업화, 정보화시대에 들어선지 오래이다. 이런 산업구조의 변화로 기존 산업시설들의 기능이 점차 상실되고 방치되어 유휴 공간이 되었다. 근래에 들어 유휴 공간들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관주도하에 진행된 문화시설 중심의 유휴 공간 사례에 편중되어 있어 본 연구는 민간 주도형으로 진행된 다양한 기능의 유휴 공간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다. 연구방법 유휴 시설의 공간적 특징이 본연의 목적 기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건물 유형을 분류하고, 유휴 시설의 활용 방법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을 추출한다. 그 결과를 기준으로 심층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여 디자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한다. 연구결과 유휴 시설은 본연의 목적 기능에 따라 창고형, 공장형 및 기타형으로 분류되고,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으로는 보존, 복원, 변형/변경으로 구분되며, 시간성, 정체성 및 이질성이 대표적인 디자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사례분석 결과, 국내에서 복원을 통한 디자인은 비교적 소극적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특성들을 보존하고 활용하거나 부분적인 변형/변경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수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정체성, 시간성, 이질성 등의 디자인 표현 특성은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결론 역사성이나 장소성의 의미가 큰 유휴 시설을 활용하려는 경우 외국과 같이 보존적 가치에 더 큰 비중을 둘 필요가 있고, 도시재생 및 지역발전의 측면으로까지 관심의 폭을 넓혀 추진할 필요가 있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방법 및 목적
 2. 유휴 공간의 이론적 고찰
  2.1. 유휴 공간의 개념 및 정의
  2.2. 유휴 공간의 형성배경
  2.3. 유휴 공간 활용의 필요성
   2.3.1. 문화적 측면
   2.3.2. 도시재생적 측면
 3. 유휴 공간의 공간 유형별 특성 분석
  3.1. 유휴 공간의 유형
  3.2. 유휴 공간의 활용 방법
   3.2.1. 보존
   3.2.2. 복원
   3.2.3. 변형 / 변경
  3.3. 유휴 공간의 디자인 표현 특성
   3.3.1. 시간성
   3.3.2. 정체성
   3.3.3. 이질성
 4. 사례 분석
  4.1. 사례 분석의 대상 및 분석틀
  4.2. 유형별 사례 분석
  4.3. 소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백 Min-back Kim.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실내환경디자인 전공 석사과정
  • 류호창 Ho-chang Lyu.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