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ㆍ중등학교 관리자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of STEAM Education

김영민, 이영주, 김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dministrators' understanding and support played a key role in the STEAM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12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of STEAM education. This study were examined current perception of STEAM education,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perceived needs in STEAM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the needs of STEAM education with an average repose of agree to strongly agree(M=4.61, SD=0.51). School administrators stated that student can improve integrated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rough STEAM education. However many do not feel prepared for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in the classroom due to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to implement STEAM education. This showed that teachers did no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TEAM education and may not have an adequate knowledge of the STEAM disciplines. Challenges facing STEAM education includ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TEAM teacher was insufficient, support designated for STEAM is too low, and STEAM education in school was lacking and inadequate. Administrators reported concerns about theirs knowledge of STEAM education, so it was essential for developing effective STEAM administrato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upporting STEAM educ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관리자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중등학교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의 STEAM 수업 관련 현황, 현장 교사의 STEAM 교육 적용도, STEAM 관리자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122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관리자들은 학교현장에서 STEAM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실제 STEAM 교육의 운영 및 적용은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가장 큰 원인은 학교 구성원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의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학교관리자들은 STEAM 교육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들이 STEAM 교육을 잘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관리자들은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가장 어려운 점으로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지식과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았다. 또한, STEAM 교육의 적용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학교관리자들은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 가장 STEAM 교육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였고, 실제로도 교사들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관리자들은 STEAM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창의적인 사고능력 향상의 성과를 가장 기대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관리자들은 STEAM 관리자 연수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관리자 연수는 STEAM 교육 학교 운영 방법 이해와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STEAM 교사 연수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조사 도구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민 Kim, Youngmin. 한국과학기술원
  • 이영주 Lee, Youngju. 한국과학기술원
  • 김영숙 Kim, Young-sook.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