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요소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Learning factors of the 'Dietary Life' Area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2011

정경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factors of the 'Dietary life' area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2011. The learning factor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not different in the subunit 'My nutrition and diet' of the unit 'My balanced diet'. For the subunit 'Cooking healthful snack',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about use of cooking utensils or burner, etc.) were slightly different in several textbooks.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achievement standard between the revised curriculum 2011 and the revised curriculum 2007. The learning factor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not different in the subunit 'Healthy and safety diet' of the unit 'Practice of heathy diet'. For the subunit 'Cooking and dining etiquette', the learning factors about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Korean foods were not different but the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 dishes using steamed rice were slightly different in several textbooks. It is because that the learning factors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are repeated at 'Cooking healthful snack' for 5th grade and at 'Cooking and dining etiquette' for 6th grade. There are 5 achievement standards for 'Dietary life' in the revised curriculum 2015. Four achievement standards of them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revised curriculum 2011. Therefore, the learning factors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suggested by this study results are useful, when selecting the learning factors for the unit 'Dietary life' of new practical arts textbooks by the revised curriculum 2015.

한국어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실과 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분석을 통해 2015개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 식생활 단원 집필 및 차기 교육과정 개선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의 균형 잡힌 식생활’ 단원 중 ‘나의 영양과 식사’ 소단원은 교과서별로 선정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다. ‘건강 간식 만들기’소단원은 건강 간식 만들기 실습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2007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1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삭제된 조리기구의 종류 및 쓰임새 알기, 연소 기구의 안전한 사용법 알기 등과 같은 기능적 요소들에 대해 교과서별로 학습내용요소 선정 여부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한 식생활의 실천’ 단원 중 ‘건강하고 안전한 식사’ 소단원은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음식 만들기와 식사예절’소단원은 우리 전통 음식의 우수성과 관련된 부분은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밥을 이용한 한 끼 식사 만들기 실습과 관련된 내용에 있어서는 교과서별로 선정한 학습내용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5학년의 ‘건강 간식 만들기’ 단원과 ‘조리과정(절차)’, ‘조리기구 및 가열기구의 사용’, ‘조리시 주의할 점’ 등의 내용이 중복되어 교과서별로 학습내용요소 선정 여부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중 식생활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5개이며 이 중 4개 성취기준의 내용이 2011개정 교육과정과 유사하게 연계되고 있다. 따라서 차기 교과서의 학습내용요소를 선정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1. 식생활 단원의 구성 비율
  2. 교과서별 식생활 단원의 구성 체제
  3. 교과서별 세부 학습내용요소의 비교
  4. 2015개정 교육과정 실과 식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요소 제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경아 Jung, Kyung-Ah. 춘천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