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s of 'childre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hild'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child'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teachers' grade placement, and teachers' care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used concept mapping approach, and handed focus questionnaires out to 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inally 35 answer papers were analyzed. For the 35 answer papers,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al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child' image as the dimensions of 'positive - negative' and 'situation - be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ild' image, the groups according to their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kinds: 'Free and passionate image' group, 'Immature image influenced by environment' group, 'Self-centered image' group, and 'Pure and nice image' group. Third, as for the evaluation of the priority on the 'child'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s value ranged from average 2.81 to average 4.52 by answer papers, and total average value was 3.87. Finally, in respect of the 'child' imag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bove-mentioned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child' as the beings who were influenced by situation, decided the situation, and explored the world and things around them with curiosity.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초등 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는 어떠한지, 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담당 학년별, 교육 경 력별)에 따라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50명의 초등학교 교사로부터 추출하여 통합·편집한 총 35개의 최종진술문에 대하여 다차원척 도분석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138명에게 중요도 평정 질문지를 투입 하여 35개의 각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이 이미지를 크게 ‘협조적-지원적’ 차 원과 ‘상황적-본질적’ 차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 이미지 ‘자 유롭고 열정적인 이미지’, ‘환경의 영향을 받는 미성숙한 이미지’, ‘자기중심적인 이미지’, ‘순수 하고 선한 이미지’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평 정 결과, 군집별 중요도는 ‘자유롭고 열정적인 이미지’, ‘환경의 영향을 받는 미성숙한 이미지’, ‘순수하고 선한 이미지’, ‘자기중심적인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어린이 이미지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 해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이를 상황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상황을 창조하는 이미지로, 주변 세 계 및 사물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는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어린이의 의미
2. 아동관
3. 어린이 인간학의 기본 이해
III. 연구방법
1. 개념도 연구 방법
2. 연구 대상
3. 연구 절차
IV. 연구결과
1.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개념도 분석
2. 배경변인에 따른 어린이 이미지 차이 분석
V. 논의 및 결론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