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동학년 팀역량 및 교사의 수업행동 간 구조관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Grade-level Team Competence and Instructional Behavio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송복순, 강충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grade-level team competence and instructional behavio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le teachers, teacher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and teachers at large school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o distributed leadershi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eam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position, but those who had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and those who taught at large schools were much more positive about it. Teacher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ha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s of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perceptions according to gender, position, and size of school. Secondly, distributed leadership had significant effects both 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and team competence, which in tur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which indicates that both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m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Finally, distributed leadership had both direct influences on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and significant indirect ones on it via team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동학년 팀역량 및 교사의 수업행동 간 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남교사, 20년 이상의 경력교 사, 그리고 대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팀역량은 성별과 직위별로 는 유의한 인식이 없었으나, 20년 이상의 경력교사와 대규모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훨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교사의 수업행동은 20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가장 긍정적이었 고, 성별, 직위별, 학교규모별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팀역량이 교사의 수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의 수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팀역량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수업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수업효율성 향상을 위해 분산적 리더십과 동학년 팀역량 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분산적 리더십
  2. 팀역량
  3. 교사의 수업행동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1. 배경변인별 관련변인 인식 차이 분석
  2. 배경변인별 관련변인 간의 구조관계 분석
  3. 배경변인별 관련변인 간의 직ㆍ간접효과 분석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복순 Song, Boksoon. 서울영희초등학교 교사
  • 강충열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