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relevance for the ecumenical movemen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Calvin’s ecclesiology for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thought of Calvin, there is a vivid awareness of the double aspect of the visible church as imperfect organisation of professed Christians and the invisible church as spiritual society. In common with the other Reformers Calvin never relaxed the tension between visible and invisible church, but beset by Catholicism and Anabaptism he laid more emphasis upon the visible church by certain distinguishing marks. In regard to the visible church it is well known that he slightly modified Article VII of the Augsburg Confession to give us the classical Reformed statement on the Church. Furthermore, Calvin realized that the universal church is one, and that all the local churches, insofar as they utilize the preaching of the Word of God ans admonister the sacraments according to Christ’s institution, are the local manifestations of one universal church. In conclusion, one of Calvin’s greatest concerns was to heal the serious breaches among the churches of the Reformation. His movements towards reconciliation and peace were not only between the Lutherans and Reformed, but among the Reformed themselves. Everywhere and always Calvin as an advocate of church union tried to bring peace and to avoid dissension and schism.
한국어
본 논문은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하여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 칼빈의 교회론을 연구하고 있다. 칼빈의 신학적 사유 안에는 그리스도인들의 불완전한 조직체로서의 가시적 교회 개념과 영적인 공동체로서의 비가시적 교회개념이 존재하고 있다. 다른 종교개혁자들처럼 그는 이 두 가지교회 개념 사이의 긴장을 지속해서 유지했지만, 로마-가톨릭교회와 재세례파에 대응하기 위하여, 말씀과 성례전이라는 확실한 표지를 통하여 가시적 교회개념을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제7항을 수정, 수용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역사적 사실로서, 이는 고전적인 개혁교회의 교회론의 핵심이다. 더 나아가 칼빈은 각 교회가 처한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회로서 존재하기 위한 기본적인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된다면, 즉 말씀의 선포와 성례전(세례와 성찬)이 시행되고 있다면각 지역교회는 다양한 형태로 보편교회로서 존재할 수 있는 신학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칼빈의 중요한 신학적 관심사는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분열을 치유하는 것으로서, 그는 교회일치를 위한 옹호자로서 평화를 실현하고 분열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그의교회일치를 위한 평화의 사역은 루터교회와 개혁교회, 그리고 개혁교회 내부의 분열을 극복하는 개혁운동이었다.
목차
I. 글을 시작하며
II. 본 연구를 위한 역사적 전제
III.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Confessio Augustana, 1530)제7항의 수용을 통한 다양한 교회직제의 포괄적 인정
IV. 에큐메니칼 교회론의 섭리론적-예정론적 지평
V. 글을 정리하며
참고문헌
Abstract